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540)]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저자
노마 필드 지음
출판사
창비(창작과비평사) | 2014-08-18 출간
카테고리
역사/문화
책소개
평범한 시민의 삶으로 천황제 국가의 본질을 묻는다 동아시아출판인...
가격비교


[책을 읽읍시다 (540)]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노마 필드 저 | 박이엽 역 | 창비 | 404쪽 | 17,0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천황제 국가 일본의 본질을 날카롭게 파헤친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가 새롭게 출간됐다(1995년 초판 출간). 일본의 전쟁책임 회피와 역사적 기억의 왜곡을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의 구체적인 저항을 통해 그렸다는 점에서 출간 당시부터 화제를 모았던 책이다. 일본의 망언이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급기야 재무장을 하기에 이른 현 시점을 반영하듯 책읽는사회문화재단은 ‘한국인이 읽어야 할 새 고전’으로 이 책을 선정(2014)한 바 있다.



일장기를 끌어내려 불태운

오끼나와의 슈퍼마켓 주인 치바나 쇼오이찌

: 국민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묻는다


국민체육대회 경기장에서 일장기를 불태운 슈퍼마켓 주인, 죽은 자위대원 남편의 신사 합사에 항거한 주부, 병석의 천황에게 전쟁책임이 있음을 공언한 시장. 이들 세 사람의 싸움의 과정을 따라가면서 우리는 전후 일본의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떠받친 것이 다름 아닌 사회 구조적 폭력의 회피와 왜곡임을 실감할 수 있다. 일본인·미국인 부모를 두고 미군점령기 일본에서 성장한 저자 노마 필드는 자신만의 독특한 입지에 서서 솔직하고 담담하게 이 과정을 서술함으로써 큰 울림을 선사한다.


1987년 오끼나와 요미딴촌의 슈퍼마켓 주인 치바나 쇼오이찌(知花昌一)는 요미딴촌에서 개최가 예정된 국민체육대회(한국의 전국체전) 전날 경기장에 들어가 게양된 일장기를 끌어내려 불태웠다. 그가 25일간 구금돼 조사받고 재판이 진행되는 사이에 우익들은 마을을 에워싸고 공격했다. 쇼오이찌의 슈퍼마켓에 불을 질렀고, 살해하겠다고 협박했다. 동네 사랑방 구실을 하던 슈퍼마켓에는 손님이 뚝 끊겼고 마을 공동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쇼오이찌는 주민들에게 한동안 외면당했다. 가족들은 마음껏 바깥출입을 하기 어려웠다. 우익의 협박은 점차 기세가 꺾여갔지만 저자 노마 필드가 그를 만나러 간 1989년까지도 진행 중이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오끼나와(류우뀨우 열도)는 일본에서 예외적 존재다. 2차대전까지는 일본 본토의, 전후에는 일본과 미국의 탄압을 받았다. 전쟁 말기에는 (본토) 일본이 주입한 군국주의 이데올로기로 인해 미군에 점령당할 것을 두려워한 주민들의 집단자결이 벌어졌고, 혹은 일본군이 협박과 강요로 주민들을 죽음으로 내몰기도 했다. 그 상흔은 생생하게 마을 사람들의 가슴에 남아 있다. 쇼오이찌의 일장기 소각사건은 이러한 지울 수 없는 역사적 기억의 연장선에서 일어난 것이다. 일견 돌발적이고 무모한 듯 보이는 이 사건을 풀어가다 보면 마을 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이 털어놓는 끔찍한 집단자결 또는 학살의 실상으로 이어지고, 그것은 다시 천황을 정점으로 한 일본 군국주의에 대한 근본적 성찰로 나아간다.



자위대원 남편의 신사 합사를 거부한

야마구찌의 평범한 여성 나까야 야스꼬

: 일본 사회의 소수종교와 여성의 지위에 도전하다


나까야 야스꼬(中谷康子)의 남편 나까야 타까후미(中谷孝文)는 한국전쟁을 계기로 창설된 경찰예비대(자위대의 전신)에서 복무하다 1968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3년 후 자위대 지방연락부는 나까야 야스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남편을 그의 출생지인 야마구찌현 호국신사에 합사한다고 통지해온다. 이에 대해 나까야 야스꼬는 친가와 시가의 반대를 무릅쓰고 소송을 제기했다. 이 재판은 장장 15년을 끌다가 1988년 6월 대법원의 패소 판결을 받았다. 이 판결은 전후 일본 사회에서 단순한 법률적 의미를 뛰어넘는 것이다. 이 판결은 전후 일본 헌법 제20조의 신앙의 자유와 정교(政敎)분리 조항이 완전하게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입증하기도 한다.


저자는 나까야 야스꼬만이 아니라 그녀의 15년 법정싸움에 함께 헌신해온 든든한 동반자 우라베 요리꼬(浦部賴子)와 야마구찌 싱아이(信愛)교회 신도 모임, 그리고 나까야 야스꼬의 친가와 시가의 계모·시모·숙모 등 다양한 세대의 일본 여성들을 만나 그들의 삶의 내력에 귀 기울인다. 시가와 가족에 죽는 날까지 철저히 봉사하도록 교육받고, 그 자신 그에 묶여 질곡의 삶을 살고 다시 자신의 며느리에게 그 질곡을 대물림해주는 ‘전통’의 계승은 군국주의의 가족화된 형태로서 가부장제와 연결돼 있다는 것이 여성들의 발언을 통해 생생한 실감으로 다가온다.


나까야 야스꼬는 종교적 양심으로 그 고리를 끊을 수 있었다. 그리고 한 사람의 사회적 약자로서 거대한 구조에 맞서는 과정에서 법과 역사, 정치의 추상적 개념들을 생활의 구체적 사실들과 조응해서 생각하는 힘을 기르게 된다.


 

죽어가는 천황의 전쟁책임을 확언한

나가사끼 시장 모또시마 히또시

: 자민당 정치인, 보수의 근간을 뒤흔들다


천황 히로히또는 1988년 가을부터 위중한 상태로 병상에서 생명을 이어가다 1989년 1월7일 사망했다. 그가 와병 중인 동안 일본 전역은 쾌유를 비는 물결로 뒤덮였다. TV 광고가 사라지고 웃음이 자제되고 축제를 연기하고 각종 행사에서 음주가 금지됐으며 검문이 일상화돼 자동차 트렁크에 든 과도 하나 때문에 구류를 살거나 조사를 받기도 했다. 가히 신경증적인 ‘자숙(自肅)’이었다.


이 와중에 1988년 12월 자민당 출신 나가사끼 시장 모또시마 히또시(本島等)는 시의회 정례회의에서 ‘(병상에 누워 있다 해도) 천황에게 전쟁책임이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고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당연하게도 전국적 항의가 거세게 타올랐다. 우익의 가두선전차가 시청사를 둘러싸고 쉼없이 항의해댔고 살해 위협이 속속 날아들었다. 경찰의 24시간 경호에도 불구하고 모또시마 시장 본인뿐 아니라 가족들까지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없었다. 외식도 할 수 없고 명절도 쇠기 어려울 만큼 감옥 같은 일상을 이어갔다. 자민당 현별연합회라는 정치적 기반을 잃었고 보수단체들은 시정(市政) 협력을 거부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동조와 격려, 감사의 목소리도 쇄도했는데, 3개월 남짓한 기간 동안 전국은 물론 해외에서까지 7,300통 이상의 편지·엽서·전보 들이 날아들었다. 이 가운데 300통은 책으로 출간돼 천황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전쟁책임을 둘러싼 각계각층의 생각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아직 죽지 않은 천황의 나라에서

개인은 연대를 통해 세계와 대면한다

: 군국주의와 파시즘의 망령이 여전히 배회하고 있다


여기 등장하는 세 사람은 불복종하는 시민으로서 좁게는 일본이 자행한 침략전쟁의 책임에서부터 개인의 종교의 자유, 정교분리, 군국주의 이데올로기, 나아가 국가의 의미를 묻고 있다. 저자는 이들 세 사람과 그들이 만들어낸 작지만 강한 공동체의 이야기 사이사이로 저자 자신의 예사롭지 않은 개인사를 정밀하게 복원하여 섬세하게 엮어낸다. 이로써 개인의 역사가 사회의 역사와 맞물리는 지점 혹은 역사가 개인의 삶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그려진다.


저자가 누누이 강조하듯이 그리고 세 사람의 역사가 더없이 생생하게 보여주듯이 연대는 불복종하는 사회적 개인들의 유일한 힘이다. 개인은 연대를 통해서만 세계와 대면할 수 있다.


전쟁책임의 당사자 히로히또는 죽었지만 천황으로 대표되는 군국주의와 파시즘의 망령은 언제라도 부활할 준비를 갖추고 우리 곁을 배회하고 있다. 그것은 비단 일본만의 일인가. 지역패권을 둘러싼 각축 속에서 동아시아 각국은 모두 같은 위험 속에 놓여 있다. 또한 국민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국가, 책임을 방기하는 사회 지도층, 지고지상의 가치가 된 물질적 이익 앞에서 다른 생각을 가진 개인들의 존재는 더욱 절실하지 않은가. 이 책이 거듭 일깨우는 것이 바로 그 점이며 그것이 오늘 다시 이 책을 읽는 의미이다.



작가 노마 필드 소개


2차대전 직후 미군점령기의 일본 토오꾜오에서 일본인 어머니와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이후 아버지를 따라 도미, 초등학교를 워싱턴에서 다니다 10세에 일본의 미국인학교로 옮겨 고등학교까지 마쳤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피처칼리지에서 학사, 인디애나대에서 석사,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 동아시아학과 일본학 교수로 재직하며 일본문학과 여성학을 가르쳤다. 현재 시카고대 명예교수이다. 자신의 독특한 성장배경을 바탕으로 현대 일본 사회를 생동감 넘치는 섬세한 문체로 성찰한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외에 The Splendor of Longing in the Tale of Genji, From My Grandmother’s Bedside, 일본어 산문선집 『祖母のくに』 등의 저서가 있으며, 나쯔메 소오세끼(夏目漱石)의 『それから』를 번역한 And Then을 출간했다.


박속심 기자(sisatime@hanmail.net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