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사회일반

(사)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 상지대학교 투자교육 세미나 성황리에 종료

시사타임즈 2025. 4. 28. 11:31

(사)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 상지대학교 투자교육 세미나 성황리에 종료

 


[시사타임즈 = 양동현 기자] (사)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회장 전승원, 이하 협회)가 지난 4월 25일 강원도 원주 상지대학교 소셜캠퍼스 온에서 제3회 투자교육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제공 = (사)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 (c)시사타임즈

 

이번 세미나의 특징은 전국에서 모인 기업 대표들의 뜨거운 관심과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협회는 장애인 기업의 투자 유치 및 성공적인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투자지원육성기관이다. 이번 세미나는 장애인 기업뿐만 아니라 장애인 고용을 통해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일반 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개최됐으며, 이는 최근 장애인 고용을 통한 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는 “이날 세미나에는 전국 각지에서 스케일업을(매출50억~80억대 회사가 200억대 매출 또는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분야의 기업 대표들이 참석하여 장애인 고용을 통한 투자 유치 전략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면서 “협회에서 사회 공익목적을 위해 추진하는 다양한 목적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참석자들은 놀라운 성공 사례 발표에 귀를 기울였다”고 전했다.

 

또한 “특히 500만 원 투자로 200억 원, 5천만 원 투자로 2,000억 원의 기업 가치를 달성한 실제사례 소개는 참석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뜨거운 박수갈채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진행된 장애인 기업 투자 펀드 교육과 투자 자격증 교육 시간에는 실질적인 투자 유치 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농업 법인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기업 투자 교육은 새로운 투자 모델을 제시하며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세미나의 열기는 협회 회원 대상 투자 유치 자격 유형 설명 시간까지 이어졌다. 3억 원, 5억 원, 10억 원, 30억 원 투자 유치 자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기업들이 각자의 상황에 맞는 투자 유치 전략을 구상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이번 투자교육세미나의 강사로 나선 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 전승원 회장은 특유의 열정적인 강연으로 참석자들의 몰입도를 높였다. 그는 장애인 기업의 무한한 잠재력과 장애인 고용을 통한 기업 성장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참석자들에게 실질적인 투자 유치 노하우와 성공 전략을 제시했다.

 

1시간 30분의 투자강의 후 1시간30분의 질의 응답시간을 가진 후 투자교육세미나가 공식적으로 종료된 이후에도 전승원 회장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그는 스케일업에 대한 구체적인 어려움을 토로하는 5개 업체의 요청에 의해 1:1 멘토링 2시간을 가졌다.

 

이번 상지대학교 투자 세미나의 성공적인 개최는 장애인 고용을 통한 투자 유치에 대한 기업들의 뜨거운 관심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협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많은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단순한 사회적 책임 이행을 넘어, 기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전략적인 투자로 인식하게 되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장애인 기업과 장애인 고용을 희망하는 기업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는 앞으로도 장애인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3년차 평균 연봉이 2억에 달하는 투자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장애인 투자자를 양성하는 계획을 전달했으며 지속적인 지원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한편 한국장애인기업투자협회 전승원 회장은 하버드 경영대학원 자문위원회 위원, 자립준비청년 성장 멘토, 창업진흥원 전문 멘토, 과제평가심사위원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사회에 기여해온 인물이다. 특히 120억대 치료기술 개발 과제평가위원 및 32개 국가출연연구기관 과제평가위원으로 활동하며 과학기술 전문성을 인정받았으며, 2024년에는 이웃사랑실천상을 수상하며 그의 따뜻한 마음을 인정받기도 했다.

 

전승원 회장은 “앞으로 장애인, 노인, 자립준비청년, 미혼모, 미혼부, 한부모가족, 생계곤란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치유농업 창업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http://www.timesisa.com>



양동현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