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IT·과학

스마트폰 이용자, 내는 요금의 ‘절반’ 밖에 안 써

스마트폰 이용자, 내는 요금의 ‘절반’ 밖에 안 써

이동통신사 요금제 조정할 필요 있어

 

 

[시사타임즈 = 박수연 기자]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이동통신사 전략에 따라 비싼 요금제 상품에 가입하지만 실제 사용량은 내는 요금의 60%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사가 필요한 서비스 제공량을 과도하게 잡고, 소비자들을 상위 요금제로 유도한 탓에 사용자들은 실제 이용하는 것 이상으로 통신비를 내고 있다. 가계 통신비 부담이 적지 않은 상황임에도 이동통신사들이 소비자를 오도하고 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휴대폰 전문 리서치회사인 마케팅인사이트(대표 김진국)가 지난 4월 실시한 이동통신 기획조사에서 스마트폰 요금제 이용자 1만5천명에게 ‘현재 이용중인 요금제의 음성, SMS, 데이터 기본 제공량 중 어느 정도를 사용하는지’ 물었다. 그 결과 실제 사용량은 제공량의 평균 60%대에 머물렀다.

 

부문별로 보면 음성통화는 제공량의 평균 75%를, 데이터(무선인터넷)는 65% 만을 사용해 최소한 4분의 1 이상 버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서비스는 무료문자 어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의 영향으로 41%만 사용해 소진율이 가장 낮았다.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4G LTE 요금제 사용자들이 3G 사용자들보다 제공량을 더 적게 소진했다. 3G에서는 서비스 제공량의 67%를 사용한다고 응답했으나 4G LTE는 61%로 더 낮았다. 특히 기본료가 5만원을 넘는 고가 요금제일수록 데이터 소진율이 낮아져 62요금제(6만2천원)는 59%, 72요금제(7만2천원) 이상에서는 51%까지 떨어졌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용하지도 않으면서 비싼 요금을 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통사들이 4G LTE 도입을 통해 요금 수입을 올리려 한 전략의 결과다. 이통사들은 먼저 기존 3G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없애 소비자들에게 많이 쓰면 더 많은 요금을 내게 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리고 데이터 사용량이 3G에 비해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기본 제공량을 크게 올린 고가 상품을 만들었다. 그 결과 많은 소비자들이 부담을 감수하며 상위 요금제를 선택하고는 기본 제공량의 상당 부분을 쓰지 않고 허비하게 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을 누구보다 더 잘 파악하고 있는 곳이 이동통신사들이다. 통신사들이 자사의 이익 확대에 급급해 이런 현실을 외면하기 보다는, 합리적이고 고객 친화적인 요금제로 전환하는 것이 절실하다.

박수연 기자(sisatime@hanmail.net)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