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DMZ 철새도래지 등 6개 지역,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
[시사타임즈 = 조미순 기자]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지속가능한 생태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철원 비무장지대(이하 DMZ) 철새도래지 등 6개 지역을 생태관광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받은 6개 지역은 ▲철원-DMZ 철새도래지(철새평화타운) ▲정읍-월영습지와 솔티숲 ▲영양-밤하늘·반딧불이공원 ▲김해-화포천 습지 일원 ▲밀양-사자평습지와 재약산 ▲제주-저지곶자왈과 오름 등이다.
이들 6개 지역이 추가됨에 따라 환경부 지정 생태관광지역은 제주 동백동산습지, 순천만 등 기존 20개 지역을 포함하여 총 26개 지역으로 늘어났다.
강원 철원군 동송읍 일대에 위치한 철원-DMZ 철새도래지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조류인 두루미의 전 세계 최대 월동지로 유명하며, 자연환경이 우수하다.
정읍-월영습지와 솔티숲은 평지와 산지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는 습지 생태계로 유명한 월영습지와 인근의 솔티숲을 연계한 곳으로 내장산국립공원과 함께 생태관광을 즐길 수 있다.
영양-밤하늘·반딧불이공원은 지난 2015년 아시아 지역 최초로 국제밤하늘협회에서 국제밤하늘보호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반딧불이 서식지로도 유명하며,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김해-화포천 습지 일원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조류인 황새와 Ⅱ급인 독수리가 사는 곳이며, 지난해 11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됐다.
밀양-사자평습지와 재약산도 2006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이며, 특히 올해 1월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곤충으로 새로 지정된 은줄팔랑나비가 집단으로 살고 있다.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일대에 위치한 제주-저지곶자왈과 오름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과 산림유전자원 보전지역에 속한 곳이다.
생태관광(ecotourism)은 유흥위주의 기존 관광과는 달리 우수한 자연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환경의 소중함을 느끼고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면서, 지역의 역사, 특색까지 고려하는 여행을 말한다. 환경부에서는 환경적으로 보전가치가 있고 생태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지역을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생태관광 성공모델 4개 지역을 포함하여 총 26개 생태관광지역을 선정했으며, 생태관광 지역에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산지원, 홍보, 컨설팅, 탐방로 등 기반시설 조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인제군 생태마을, 고창군 고인돌·운곡습지, 제주 동백동산습지, 신안 영산도 등 4개 지역은 생태관광지역 지정 이전과 비교하여 방문객과 소득이 평균 112%, 79% 증가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환경부는 “생태관광은 단순히 즐기는 관광이 아니라, 자연의 소중함을 배우고 체험하는 관광이다”면서 “이러한 의미를 염두에 두고 생태관광 지역을 방문하면, 그 지역 자연생태의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자연이 주는 아늑함을 즐기는 한편, 자연환경의 보전에도 기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하기, 정해진 탐방로 이용하기, 산나물 채취와 같은 훼손행위 하지 않기 등의 노력도 함께 한다면, 생태관광을 더욱 의미 있게 즐기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환경부는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된 곳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주민협의체를 중심으로 재정지원, 홍보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신규 지정된 6개 생태관광지역을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통한 자연과 인간의 공존과 주민소득 증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출처: http://sisatime.tistory.com/16915 [시사타임즈]
조미순 기자 sisatime@hanmail.net
'사회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미세먼지 해결 R&D에 3년간 492억 원 투입 (0) | 2018.01.26 |
---|---|
인천시 “미세먼지 줄고 또 줄었다” (0) | 2018.01.26 |
경기도, ‘유해화학물질 환경안전망 모니터링’ 추진 (0) | 2018.01.22 |
경기도, 18일까지 오염지류 개선사업 신청받아 (0) | 2018.01.12 |
멸종위기종 21종 늘었다…붉은어깨도요 등 새로 지정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