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회일반

경찰, ‘앱(악성코드) 설치’ 유도형 보이스피싱 주의

경찰, ‘앱(악성코드) 설치’ 유도형 보이스피싱 주의

악성코드로 신고·확인전화까지 돌려받아 피해자 속여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금융기관·수사기관 등을 사칭하여 대출·수사절차 진행 등을 위해 관련 을 설치해야 한다고 속여 돈을 빼내는 신종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어 경찰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폴 안티스파이 소개 및 보호나라 신고방법(사진제공=경찰청). ⒞시사타임즈

 

URL, 도메인, IP주소 등을 알려주면서 관련 앱을 다운로드 받으라고 하거나 원격제어 앱을 설치하도록 한 뒤 사기범이 직접 피해자 핸드폰에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사기범은 피해자가 잘 믿으려 하지 않는 경우 경찰·금감원·은행 등에 확인전화를 해보라고 유도한다. 또한 피해자가 경찰·금감원·은행 등에 확인전화를 시도하는 경우 악성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발신전화를 자신들이 직접 수신한다.


사기범은 피해자가 확인전화를 시도한 경찰·금감원·은행 등을 재차 사칭하며 피해자를 또 속인다.

 

경찰·검찰·금감원·금융기관이라며 출처불명 앱을 설치토록 하거나 확인전화를 유도하는 경우 보이스피싱 가능성이 높다.

 

출처불명 실행파일(*.apk)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서는 안되고, 모르는 상대방이 알려주는 URL, 도메인, IP주소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평소 스마트폰의 환경설정에서 출처불명 앱설치를 차단하고 경찰청 폴 안티스파이앱 또는 최신 백신 프로그램 이용해야 한다.

 

만일 핸드폰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폰을 초기화하거나 백신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삭제해야 한다.

 

악성코드 설치 유도 메세지를 받았다면 인터넷 보호나라에 접속하여 피싱사고메뉴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경찰은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경찰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규모는 총 31,018, 3,630억 원 상당으로,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201617,040201724,2592018(11) 31,018건 등 전년 동기 대비 43.6% 증가했다.

 

특히 최근에는 피해자의 핸드폰을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속이는 수법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사기범은 피해자가 보이스피싱을 의심하여 경찰, 금감원, 금융기관 등에 확인전화를 하는 것에 대비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하여 피해자를 속이고 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