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2020년 새롭게 추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주요사항 발표
[시사타임즈 = 양동현 기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주요사항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저출산・고령화, 인구의 수도권 집중 등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지방대학의 대대적 활로 개척 사업이다. 대학이 대학교육혁신을 통해 지역의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이 필요로 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하여 ‘대학의 혁신’이 ‘지역의 혁신’으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각 지역이 지방대학과 지역 간 긴밀한 협업체계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주력한다.
교육부는 “기존 대학재정지원사업들이 개별 대학의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그 효과가 부수적으로 지역에 확산되기를 기대한 것과 달리 이 플랫폼은 지자체가 대학·기업 등 지역혁신주체들과 함께 지역의 여건과 현안을 십분 반영한 ‘지역혁신 핵심분야’를 발굴하고 대학이 주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학이 지역과 소통하는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자 올해 우선 3개 지역을 선정해서 총 1080억 원(총사업비의 30% 대응투자)을 시범적으로 지원한다.
이와 함께 각 지역은 ‘정보의 공유’와 ‘사업 간 연계’를 통해 상승효과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해 “그동안 대학별로 중앙부처의 다양한 지원사업들을 수행해 왔으나, 각 사업들이 하향식·분절적으로 추진되어 그 효과가 기대만큼 높지 못했다”면서 “지역혁신 플랫폼에서는 대학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혁신 사업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사업 간 중복을 최소화하고 공백을 보완하는 한편, 통합 조정을 통해 동반 성장 효과 창출을 도모한다”고 알렸다.
지역혁신 목표를 고려하여 대학의 지역혁신역량이 발휘될 수 있는 핵심분야를 ’선택과 집중‘ 원칙에 의하여 선정한다. 지역혁신에 필요한 최우선순위 분야를 선정하되, 핵심분야 선정의 타당성과 시급성이 명확해야 한다.
또 부서별 소관 업무 및 대학별 특성화 전략을 고려하여 분야별 지역혁신을 총괄할 ‘지자체 부서’와 ‘중심대학’ 등을 결정하고 대학이 지역혁신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인재양성, 연구분석, 사업화지원, 지역재생 지원 등)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핵심분야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역 대학간 전략적 특성화 및 역할분담, 학사구조·교육과정 개편 등 대학교육혁신 성과를 총괄·관리한다. 첨단학과 및 융합학과 설치‧운영 등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학과 개편, 지역수요와 연계한 혁신 교육과정 개발 및 공동 운영한다.
대학의 자원을 활용하여 핵심분야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추진과제를 설정, 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 협업하여 과제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 및 타부처 사업 현황을 플랫폼에서 공유・분석 후 사업 간 중복을 최소화하고 보완 연계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과제 구성·운영한다.
플랫폼에는 지역 내의 주체라면 누구나 필요한 목적에 맞게 참여할 수 있는데, 지자체는 비수도권과 광역시·도에 열려 있다. 대학은 2018년 대학기본역량 진단·평가 결과에 따른 재정지원 제한 대학이나 진단 미참여 대학을 제외하고는 참여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현재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를 중심으로 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기업벤처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업 간 연계 방안을 다각도로 협의 중이며, 앞으로 고용노동부 등까지 협업 부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2월 중 부총리와 지자체의 장, 대학의 장, 협업기관의 장들이 참여하는 권역별 간담회를 개최하여 현장 수용성을 높인 기본계획을 2월 말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유은혜 부총리는 “대학의 역할을 지역과의 관계에서 새롭게 정립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은 앞으로의 고등교육 정책방향의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난 금요일 개최된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도 대학과 지역 간 협업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했으며, 사회부총리로서 지역의 상생발전을 위해 대학 간, 부처 간, 지역주체 간 협업과 연계가 원활히 추진되도록 균형위와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양동현 기자 sisatime@hanmail.net
'사회 > 교육·청소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시자원봉사센터, ‘동계 방학중 청소년자원봉사프로그램’ 진행 (0) | 2020.01.29 |
---|---|
웅지세무대, 2020학년도 신입생부터 기숙사비 전액 무료 지원 실시 (0) | 2020.01.22 |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도슨트 양성 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0) | 2020.01.20 |
올해 1학기 학자금 대출금리 0.2%p 인하…8일부터 신청 가능 (0) | 2020.01.07 |
전북교육청, 2020 학교협동조합 설립·운영 지원 계획 마련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