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회일반

귀농·귀촌 32,424가구 사상 최대…40대 이하 크게 늘어

귀농·귀촌 32,424가구 사상 최대…40대 이하 크게 늘어

작년대비 1.2배 증가, 귀농은 경상도·귀촌은 경기도

 

 

[시사타임즈 = 탁경선 기자] 탈도시를 꿈꾸는 이들이 점차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2013년 귀농·귀총 인구가 32,424가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에는 2012년(27,008가구) 대비 1.2배 증가한 32,424가구가 귀농귀촌했다.

 

년도별로 살펴보면 2001년 880가구에서 2010년 2,067가구, 2011년 10,503가구, 2012년 27,008가구, 2013년 32,424가구이다. 가구원수는 전년 47,322명 보다 8,945명 늘어난 56,267명으로 18.9% 증가했다.

 



귀농귀촌의 지속적인 증가는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증가와 전원생활을 통한 가치 추구 경향 확산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955년부터 1963년의 9년 동안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현재 본격적인 은퇴시기에 진입해 귀농귀촌을 주도하고 있다.

 

50대 귀농귀촌 가구수는 2001년 187가구였던 거에서 2012년 8,299가구, 2013년 10,420가구를 기록했다. 대도시거주 베이비부머(576만명)의 13.9%가 10년이내 농촌으로 이주, 2013년 귀촌가구 수가 전년 대비 36.2% 증가하여 귀농귀촌 가구의 전체 증가율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은 전원생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2013년 귀촌가구 수는 21,501가구(37,442명)로 귀농귀촌 전체 가구 수의 약 3분의 2를 차지했다.

 

또한 귀농귀촌 가구수를 시·도별로 분석할 때 베이붐 세대의 은퇴가 집중된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경기도가 9,430가구(29.1%)로 최대이고, 충북(4,918가구), 강원(3,721가구)이 그 뒤를 이은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귀농귀촌 가구수 증가 통계와 관련하여 고무적인 것은 40대 이하 젊은 층의 농촌 유입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는 점이다. 40대 이하 귀농·귀촌 가구수는 2001년 647가구였고, 이후 2012년 10,729가구, 2013년 12,318가구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해온 젊은 귀농·귀촌인들이 생산·가공-체험 연계를 통한 6차산업화를 비롯해 지역발전에 중심적 역할을 하는 다양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귀농귀촌 가구의 지역적 분포 변화를 각각 살펴보면 전체 귀농귀촌 가구수 증가 이외에도 다양한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먼저, 귀촌이 전국적 확산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은 경기도로 귀촌한 가구수가 여전히 가장 많았고 충북·강원이 그 뒤를 이었으나 전년에 비해 이들 지역의 비중이 줄어들고 전북, 경남 등의 비중이 늘었기 때문이다.

 

시군별로도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 시․군이 상위권 다수를 차지하였지만, 고창, 함양 등도 크게 증가했다. 귀촌이 많은 시군은 ▲경기(가평·파주) ▲강원(홍천·강릉) ▲충북(진천·영동) ▲전북(고창·완주) ▲경남(함양·창녕) 등이다.

 

또 귀농의 경우 농지가격이 낮고 귀농 지원 프로그램이 잘 갖춰진 지역의 인기가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북 지역으로의 귀농 가구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남, 경남이 뒤를 이어 전년과 같은 경향을 유지하고 있었다. 시군별로는 고창, 상주 순으로 귀농 가구가 많으며 이들 지자체는 귀농정책에 관심이 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귀농과 관련하여 재배 면적·작물, 가업승계농 증가 추세 등 의미 있는 추세가 발견됐다. 귀농가구 평균경작 면적은 0.46ha이며, 과거의 예를 볼 때 귀농기간이 길어질수록 재배면적은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작물별로는 채소 재배면적이 많으며 과수, 특용, 두류, 논벼 순이며, 완주·순천·연천 등 대도시 인근 시군의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등 시설을 이용하여 채소류를 많이 재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업승계농의 경우 농업 이외에 농가공, 유통,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등 6차산업화에 동참하거나 마을 이장, 귀농협의회장 등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는 사례가 많이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이번 통계 발표를 통해 40대 이하 젊은 층의 귀농귀촌이 농업․농촌 후계인력 유지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으로 농촌 인구가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사회서비스 관련 일자리도 증가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투자 확대와 인력 유입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귀농귀촌인의 기술․경험을 토대로 농산업의 6차 산업화에 기여하고 농촌관광, 직거래 등 도농교류 사업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귀농귀촌인의 농촌 정착과정에서 자본유입이 늘어나고 농촌지역에 대한 투자도 촉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아가 “문화, 평생학습, 복지, 교육 등 사회 서비스 분야 참여 및 기존 농촌 주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농촌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앞으로는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정책보다는 귀농귀촌한 도시민이 정착하는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전했다.

 

귀농귀촌인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으로는 ▲귀농귀촌인의 6차산업화 창업을 지원하고 전문가·마을리더로 육성 ▲귀농귀촌인에 대한 농산업 일자리 제공 기회 확대 ▲귀농초기 영농 정착을 잘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귀농․귀촌 설계와 농촌적응지원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탁경선 기자(sisatime@hanmail.net)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