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소방안전본부, 2017년 구급활동 실적 현황 발표
[시사타임즈 = 김혜경 기자] 부산소방안전본부(본부장 윤순중)에서는 작년에 119구급차가 179,317회 출동해 110,989명을 이송했다고 밝혔다. 하루 평균 491회로 2분54초마다 구급차가 출동한 것이다.
만성 및 급성질환 등 질병으로 인한 환자 72,288명(65.1%)을 이송했고 사고 및 기타 외상에 의한 환자 38,701명(34.9%)을 이송했다. 전년 대비 질병으로 인한 환자가 7,384명(11.4%), 사고부상으로 인한 환자가 128명(0.5%) 증가했고 교통사고 환자는 142명(1.3%)이 감소했다.
질병 환자 중 고혈압(22,613명/20.4%)과 당뇨(14,623명/13.2%)가 많았다. 사고 부상 환자 중에서는 추락․낙상(12,853명/11.6%)과 교통사고(11,009명/9.9%)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1~60세가 19,683명(17.7%), 61~70세 19,031명(17.1%) 71~80세 18,936명(17.1%), 순으로 많으며 61세 이상 환자가 50,133명으로 전체 이송인원 중 45.2%를 차지했다.
월별로는 7월에 10,050명(9.1%), 8월 9,790명(8.8%), 12월 9,871(8.9%)에 구급환자가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8시부터 9시에 12,749명(11.5%) ▲10시부터 11시 11,672 (10.5%) ▲2시부터 13시 10,701명(9.6%) 순으로 많아 야간보다는 오전에 응급환자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나 났다.
직업별로는 무직이 전체 이송인원의 40.9%인 45,381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장인(16,255명/14.6%), ▲주부(12,826명/11.6%) ▲학생(7,509명/6.8%)이 뒤를 이었다.
발생장소로는 집에서 68,495명(61.7%)이 발생해 가장 많았고 그 뒤로 ▲도로(14,188명, 12.8%) ▲상업시설(4,537명, 4.1%)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에서 환자발생 비율이 높은 것은 환자의 직업 중 무직자 및 주부의 비율(전체의 52.5%)이 높은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윤순중 소방본부장은 “전체 환자의 61.7%가 집에서 발생함에 따라 평소 가족들의 기초 응급처치요령 습득이 중요하다”면서 “우리본부에서 구축하여 운영중인 응급처치교육 통합관리시스템과 소방서별 운영중인 시민 응급처치 교육장 운영을 통해 시민들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교육을 더욱 내실 있게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김혜경 기자 sisatime@hanmail.net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노디스, ‘생명키트(Life Kit)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지원 (0) | 2018.02.20 |
---|---|
‘지역문화전문인력 미래포럼’ 21일, 22일 양일간 개최 (0) | 2018.02.20 |
광주경찰, 성매매 알선 업주 등 관련자 4명 검거 (0) | 2018.02.20 |
KMI 한국의학연구소-한국인터넷신문협회, 공동 국민건강증진 캠페인 협약 체결 (0) | 2018.02.20 |
한류기업 디콘 이병하 대표, 4차산업혁명시대 지속가능한 한류 ‘맞손’ (0) |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