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CCTV안전센터, ‘지자체 최초’ 정보보호 분야 인증 획득
ISMS 16개 분야, 80개 항목 심사 및 검증 거쳐 전국 지자체 최초 인증 획득
[시사타임즈 = 조미순 기자] 서울시는 서울시CCTV안전센터(이하 ‘CCTV안전센터’)가 전국 지자체 최초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그동안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정보자산 취약점 분석, 위협 요소 제거 등 안전성과 신뢰도 제고에 집중해 온 결과다”며 이같이 전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인증하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는 △관리체계 기반 마련 △위험관리 등 16개 분야에서 기업․기관의 정보보호를 위한 일련의 조치 및 활동을 검증하는 제도다.
시는 앞서 2020년 서울시 대표 홈페이지를 포함한 3개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을 획득(한국인터넷진흥원)한 바 있다.
2019년 개소한 ‘CCTV안전센터(마포구 상암동)’는 시․구를 포함하여 경찰청, 소방청, 법무부, 행안부 등 유관기관 CCTV와 연계하여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25개 모든 자치구의 CCTV 연계가 완료되면서 올해부터는 ‘광역CCTV 통합 컨트롤타워’ 역할을 본격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이번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CCTV안전센터’에 수집되는 CCTV 영상을 해킹 등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작년부터 정보자산 컨설팅, 위험평가, 내부감사 등 강도 높은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쳤다.
특히 정보자산 취약점을 집중 분석․평가하고 보안 위협 요소를 제거해 정보보호 시스템에 대한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수립했다.
‘CCTV안전센터’는 2023년 한 해, 범죄 예방․수사 등을 위해 경찰서 등 6개 기관에 총 282만 건의 영상을 제공했으며, 지난해 5월에는 ‘마약’ 관련 특별 CCTV 관제를 추진해 최근까지 영상 145건을 제공 및 처리, 16건을 검거를 도운 바 있다.
방범․재난․구급․군작전 등을 비롯해 긴급상황 시 CCTV를 통한 상황 파악과 대응도 지원하며, 공공 와이파이․사물인터넷(IoT) 등 각종 스마트시티 시설과 장비 통합운영센터 역할도 하고 있다.
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미아, 치매어르신 등을 찾는 실종자 고속검색시스템 등을 비롯해 앞으로 ‘CCTV안전센터’ 시스템 및 정보보호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완집 서울시 정보통신보안담당관은 “서울시CCTV안전센터는 2026년 지능형 CCTV 100% 구축과 연동해 시민 보호뿐 아니라 도시시설물, 교통 등의 컨트롤에도 활용되는 ‘통합 스마트허브’로 기능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인증을 계기로 정보 활용만이 아닌 정보보호와 관리 수준을 높이는 데도 더욱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http://www.timesisa.com>
조미순 기자 sisatime@hanmail.net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시, 지난해 대중교통 이용객 수 크게 증가 (0) | 2024.03.12 |
---|---|
공노총 “각 정당은 공무원 노동자의 목소리를 들어야” (0) | 2024.03.12 |
전북자치도, 친환경 탄소 저장고인 목재 이용 통해 탄소중립 앞장서 (0) | 2024.03.12 |
동물자유연대 “동물학대 소싸움은 문화가 될 수 없다” (0) | 2024.03.12 |
고신대병원, 몽골의학회와 의료관광활성화 MOU 체결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