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지난해 대중교통 이용객 수 크게 증가
[시사타임즈 = 박현석 기자] 전주시는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대중교통 이용객 수가 출·퇴근 시간대 편의 증진과 이용객 중심 효율적인 노선 개편, 마을버스 및 모심택시 확대 등의 효과로 1년 전보다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주시가 밝힌것에 따르면 지난해 전주시내버스 누적 이용객은 약 5089만 명으로, 2022년(약 4839만 명)보다 약 5.1%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마을버스 이용객도 1년 전(39만 명)보다 43% 증가한 56만 명으로 집계됐다. 또, 모심택시 이용객은 2022년 2만1000명에서 지난해 2만7000명으로 약 28% 증가했다.
특히 시내버스 이용객의 경우 지난 2019년 4945만 명에서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에는 3898만 명으로 크게 줄었으나,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465만 명과 4839만 명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여기에 지난해에는 시내버스 이용자가 5100만 명에 육박하면서 전주시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주요 교통수단임을 입증했다.
전주시는 “대중교통 기반 시설·환경 조성과 이용객 중심의 효율적인 노선 개편 시행, 교통비 절감을 위한 정기권 등이 대중교통 이용객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하고 했다.
아울러 전주시는 지난해 소음과 진동이 적어 승차감이 좋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공기정화 효과까지 있는 친환경 수소저상버스를 51대를 추가 도입해 현재 총 90대를 운행하고 있다. 또 시민들의 교통 복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올해도 88대의 친환경 수소저상버스를 추가 도입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178대의 수소시내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시내버스 공급 확대를 위해 전주-완주 지간선제 노선개편을 통해 주요 노선의 배차간격을 줄여 시민들의 이동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편의 제공에도 힘썼다.
더불어 시 외곽 농촌마을과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마을버스 ‘바로온’ 11대와 모심택시 9대 추가 확대 공급함으로써 수요에 맞는 운영체계를 확립하기도 했다.
또한 예비차를 활용해 밀집 노선에 탄력배차제를 시행하는 등 출근 시간대 이동 편의성을 한층 높여 시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시내버스가 되도록 했다.
전주시는 지난달 시행한 삼례 방면 노선개편에 이어 시내버스 전주-완주 지간선제 노선개편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시는 지간선제 노선개편 지역을 하반기에는 봉동·용진방면까지 확대 시행함으로써 시내버스 지간선제 3단계 노선개편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확보된 시내버스는 신도시 등 공급부족 노선에 추가 투입돼 배차간격과 이용객들의 대기시간을 줄인다는 구상이다.
이외에도 시는 그동안 꾸준히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시내버스 서비스 향상 및 난폭운전 개선을 위해 전주 5개 시내버스 운전원의 부당행위와 난폭운전 등에 관한 민원사항을 운전원에 공개하고, 상·하반기 서비스 평가 등을 통해 전년 대비 시민불편 민원을 11% 감소시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심규문 전주시 대중교통본부장은 “세계 모든 도시가 시민들의 발인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전주시도 승강장 냉·온열 편의시설 설치와 수소시내버스 적극 도입, 전주시 대중교통 혁신을 이끌 BRT 도입 추진 등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 전주시민들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가는 대중교통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전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http://www.timesisa.com>
박현석 기자 za0090007@naver.com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2024 대한민국 헌혈공모전’ 개최 (0) | 2024.03.13 |
---|---|
희망친구 기아대책, ‘위기임신청소년’ 지원체계 구축 위한 사업 간담회 개최 (0) | 2024.03.13 |
공노총 “각 정당은 공무원 노동자의 목소리를 들어야” (0) | 2024.03.12 |
서울시 CCTV안전센터, ‘지자체 최초’ 정보보호 분야 인증 획득 (0) | 2024.03.12 |
전북자치도, 친환경 탄소 저장고인 목재 이용 통해 탄소중립 앞장서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