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165)] 있는 자리 흩트리기:나와 세상의 벽을 넘는 유쾌한 반란

[책을 읽읍시다 (1165)] 있는 자리 흩트리기:나와 세상의 벽을 넘는 유쾌한 반란

김동연 저 | 쌤앤파커스 | 284쪽 | 15,0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있는 자리 흩트리기』는 ‘흙수저 신화’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김동연 총장이 절망의 한가운데에서 실의에 빠진 청년들에게 던지는 따끔하지만 따뜻한 메시지를 담은 책이다. 저자는 ‘청년들이 꿈을 잃게 된 사회’를 기성사회의 잘못이라고 지적하면서도 청년들 또한 스스로 ‘알’을 깨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환경이라는 ‘남이 던진 질문’, 나 자신이라는 ‘내가 던진 질문’, 세상이라는 ‘사회가 던진 질문’에 답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언론에 소개되는 김동연 총장에게는 어김없이 따라붙는 수식어가 있다. 바로 ‘흙수저 신화’가 그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는 11살의 나이에 아버지를 잃은 후, 소년 가장이 되어 할머니와 어머니, 동생 셋의 부양을 책임져야 했다. 떠 청계천 무허가 판잣집과 천막촌 생활을 전전하며 주경야독 끝에 행정고시와 사법고시에 합격, 훗날 예산실장을 거쳐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 자리에 오르기까지 한 그의 인생 자체가 ‘드라마’로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그의 ‘신화’가 그저 그런 성공담이 아닌 이유는 그에게 더해진 엄청난 아픔에 마주했던 그의 인간적인 면모가 알려지면서였다. 그가 경제 관료로서 정점을 찍을 무렵, 큰 아이에게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 찾아온 것이다. 그는 이 사실을 부처 동료들에게 알리지 않고, 그가 맡은 공직자로서 노력을 기울였다. 물론 큰 아이에 대한 헌신적인 치료를 멈추지 않았지만, 그 노력에도 큰 아이는 끝내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저자의 매력은 무엇보다 청년을 탓하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요즘 청년들이 나약하다, 좋은 환경에서 노력하지 않는다.’ 류의 생각들에 김 총장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과거보다 계층이동이 어려워진 사회, 열심히 해도 일자리를 얻을 수 없는 사회는 모두 기성세대와 기득권 세력이 갖는 단단한 카르텔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러한 절망의 상황에도 청년 스스로가 무기력하게 느끼고, 방관자로서 남는다면 그들에게 더욱 희망의 빛은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충고한다. ‘흙수저 출신’으로 처절하게 느꼈던 본인의 진심이 우러나는 대목이다.

 

그는 청년들이 스스로 절망에 머물게 하는 세 가지 감옥에서 벗어날 것을 조언한다. 그러자면 주어진 환경이라는 ‘남이 던진 질문’과 스스로 한계를 가두는 나 자신이라는 ‘나에게 던진 질문’, 마지막으로 사회라는 ‘세상이 던진 질문’에 답을 찾는 노력, 즉 스스로 ‘있는 자리’를 깨트릴 용기가 필요하다.

 

첫 번째 남이 나에게 던진 질문에 답을 찾는 노력은 내게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 적응하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이다. 부족한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좌절, 마음속 분노, 열등감 등을 극복할 수 있는 해법이기도 하다.

 

두 번째는 내가 나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남이 던지는 질문을 넘어 자기 스스로 인식하는 틀을 깨는 과정이다. 안 될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 나의 한계를 정해놓고 안주하는 마음, 남의 시선에 나를 가두는 틀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각을 궁극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과정이다.

 

세 번째 마지막 질문은 세상이 던지는 질문이다. 이는 우리 공동의 문제에 대한 질문이다. 첫 번째 질문과 두 번째 문제를 풀었다 하더라도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카르텔적 시스템’에 수수방관한다면 결국엔 또 다른 ‘흙수저’를 만들 뿐이다. 즉 공정한 게임의 룰을 만드는 데 참여하는 노력이다.

 

저자는 이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은 우리를 가두는 삼중 감옥을 부수고 우리 자신을 탈옥시켜줄 것이라 말한다. 그것은 곧 ‘반란’이다. 반란은 무엇인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뒤집는 것이며, 나를 둘러싼 부족환 환경, 살면서 형성된 나 자신의 틀, 그리고 공정하지 못한 사회를 움직이는 게임의 룰 전체를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무엇보다 진실함이 느껴진다. 흔히 봐왔던 ‘고난 극복기’처럼 느껴지지 않는 것은, 어쩌면 저자 스스로 감추고 싶었을 법한 이야기도 서슴없이 들려주는 것도 한 이유가 아닐까 싶다. 고위 공직자에 이를 때까지 가정환경에 대한 열등감, 학력에 대한 콤플렉스 등이 가감 없이 담겨 있는 것. 그것은 여전히 우리가 ‘공정하지 못했던 우리 사회’에서 모두가 느끼는 열등감이자 콤플렉스이다. 그래서 읽는 이라면 누구라도 공감이 간다.

 

‘부모가 죽으면 땅에 묻고 자식이 죽으면 마음에 묻는다’라고 했던가. 생때같이 키운 자식을 마음에 간직했던 부모로서의 저자를 보고 있노라면, 그 슬픔을 독자도 감히 짐작키 어렵다. 하지만 그가 걸어온 길이, 그리고 병마와 싸우는 자식을 두고 급박했던 업무에 임했던 그의 면모는 역설적이게도 우리의 삶에 더 진한 진실함을 느끼게 해준다. 아들과의 마지막 약속이었던, 이 책이 ‘우리의 아들딸’인 청년을 넘어 모든 이들에게 더 깊게 와 닿는 까닭이다.

 

그는 말한다. 세 가지 질문에 답을 구해갈 때, 있는 자리를 흩트리는 과정과 결과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노력하는 과정이 더 가치 있고 아름답기 때문이며, 그런 속에서 성숙되어가는 ‘내’가 결과보다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결과를 눈치 보며 망설이지 말고 안전지대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있는 자리를 흩트리라고. 그리고 마지막에 이렇게 덧붙인다.

 

 

작가 김동연 소개

 

그를 처음 만나면 소박함과 겸손함에 놀란다. 그를 다시 만나면 해박함과 열정에 반한다. 그와 같이 일하면 치밀함과 추진력에 기가 질린다. 그러나 그를 깊이 알면 그 진정성과 순수함에 저절로 팬이 되고 만다.

 

‘유쾌한 반란의 전도사’, ‘고졸 신화’, ‘청년들의 멘토’, ‘있는 자리 흩트리기의 명수’ 등 다양한 수식어가 있지만, 무엇보다 그는 스스로 ‘어떻게’ 살 것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실행하는 사람이다.

 

11살의 나이에 아버지를 잃은 이후, 소년 가장이 되어 할머니와 어머니, 동생 셋의 부양을 맡았다. 청계천 무허가 판잣집과 천막촌 생활을 전전하며 덕수상고를 다녔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졸업도 하기 전 은행에 취직해 야간대학인 국제대학(현 서경대학교)을 다녔다.

 

‘세상 누구를 지금의 내 자리에 데려다놓아도 더 열심히 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각오로 주경야독한 끝에, 25살이 되던 해 행정고시와 입법고시에 동시 합격했다. 이를 계기로 ‘고졸 신화’로 이름이 알려진 후로도 자신과 세상에 대한 ‘유쾌한 반란’을 멈추지 않았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에 이어 국비 장학금과 미국 정부의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미시 간 대학(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정책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제기획원 사무관으로 시작한 32년 공직생활 내내 ‘사회 변화에 대한 기여’를 신조로 우리 경제와 사회문제 해결에 소신을 다해왔다. 정부 최초의 국가 장기 발전전략인 ‘비전 2030’을 수립했고 세계은행(IBRD) 프로젝트 매니저를 지냈다. 대통령 경제금융비서관으로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에 총력을 기울였고, 국가재정을 책임지는 기획재정부 예산실장을 지냈다. 기획재정부 차관을 거쳐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으로 국정 전반을 조율하기도 했다. 이 시절, 공직사회에서 ‘가장 존경받는 선배’, 기자세계에서도 ‘가장 존경받는 관료’로 통했다.

 

공직의 정점에서 돌연 사의를 표하고 시골에 머무르다 현재는 아주대 총장으로 있다. ‘파란학기’, ‘After You 프로그램’, ‘아주 희망 SOS 프로그램’ 등 창의 중심의 대학 혁신과 계층이동을 촉진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대학가는 물론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