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국 사회의 양극화 치유가 필요하다
[시사타임즈 칼럼 = 박채순 박사] 우리 한국 사회가 두 편으로 나누어 갈등과 대립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극한 갈등 현상을 보이고 있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련한 문제만 하더라도 극과 극의 해석을 낳고 있다.
지난 2월 8일 국회에서 자유한국당 소속 김진태와 이종명 의원이 지만에게 멍석을 껄어준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로부터 발단이 되었다.
이 공청회에서 이종명의원은 5·18은 “북한군이 개입한 폭동이었다”라고 말했다. 김순례 의원은 5·18 유공자가 이상한 괴물집단이라고 말했다.
평소에 광주민주화 운동은 북한군 특수 부대원 600명이 광주에 침투해 일으킨 사건이라고 주장했던 지만원은 이날도 “북한군 개입은 사실이며, 전두환은 영웅이다”라는 취지로 발표했다.
우리 역사에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79년 격변의 시기에 박정희가 김재규의 총에 맞아 사망한 이후 정국 혼란의 틈을 타, 전두환 등이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키면서 권력 쟁탈의 꿈을 꾸면서 시작되었다.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에 확대하면서 광주에서 무력으로 진압을 하자, 이에 항거한 광주 시민과 학생들이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 부당한 국가 권력에 항거한 반독재 민주화 운동을 했던 역사적인 사실이다.
그 후 5·18주범인 전두환 등 반란군들은 12·12와 5·18의 내란죄와 살인죄로 사형선고를 받았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광주시민의 희생과 정신은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동기요 과정이었다는 것을 인정하여 ‘5·18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정했다.
또한 2011년 5월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은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런 일련의 사실을 무시하고 이들 자유한국당 국회의원과 지만원은 역사적인 사실을 조롱하고 왜곡한 것이다.
이후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각 정당과 시민사회에서 지만원과 김진태, 이종명과 김순례 등을 규탄하고 처벌 할 것을 주장하는 것은 물론 특별법을 제정하여 이들과 같은 언행이 되풀이 않도록 하자는 공감대가 국가 사회에서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련의 과정 중에서 지난 23일 토요일 민주평화당, 민주당, 바른미래당과 정의당 등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제 정당과 540여 시민사회 단체가 주축이 된 ‘5·18 시국회의’와 ‘5·18 역사왜곡 처벌 광주운동 본부’ 주최로 청계천과 광화문 일대에서 “5·18 모독 역사왜곡 처벌하라!”, “5·18 정신 모독하는 자유한국당 해산하라!”와 “김진태, 이정명과 김정례를 제명하라!”고 외치는 규탄 대회가 열렸다.
그러나 청계천과 광화문 광장의 좌우와 시청에서 광화문 광장에 이르는 도로를 메우는 태극기 부대가 동시 또는 다발적으로 열려서 서울의 중심애 온갖 구호와 플래카드로 뒤덮였다.
지난 2월24일 일요일에 국회 정론관에서 대구시와 경북도지사를 제외한 광역 지방자치 단체장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5·18에 대한 폄훼나 왜곡은 대한민국의 법과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행위”라며 “5·18에 대한 망언, 망동에 대해 국민의 이름으로 규탄 한다”고 강조하고 “정치적 목적을 위해 5·18의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거나 왜곡하는 행위를 배격하고 5·18 역사왜곡처벌특별법 제정을 촉구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월24일 광화문 일대에서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든 부대들이 2월23일 정당 시민사회 단체가 실시했던 그 자리에서 “가짜 유공자를 공개하라” 라고 외치고 “빨갱이들을 다 죽여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통령에 대한 막말도 서슴치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심각한 갈등과 대립의 현상이다.
엄연히 존재했고, 역사적인 사실로 인정한 5·18 민주화 운동을 부정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를 일삼는 것은 우리 스스로의 역사를 부정하고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나 상대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것으로 밖에 해석할 수가 없다.
독일의 한 철학자는 “역사의 의무는 진실과 허위, 확실과 불확실, 의문과 부인은 분명히 구별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오래지 않은 역사적인 사실을 가지고도 이처럼 양극화된 사회는 건전한 사회로 보기 어렵다.
사간이 더 가기 전에 양극화된 사회 현상을 치유하기 위해서 정치인은 물론 시민 사회와 우리 국민 모두는 역사 앞에서 의무를 짚어보고 이를 저버리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글 : 박채순
정치학박사(Ph.D). 민주평화당 김포시을 지역위원장. 민주평화당 재외국민위원장.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객원연구원 역인2016~2017). 아르헨티나 국립 라 플라타 대학교 객원교수 역임(2014~2016)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빙 연구위원. 월드코레안 편집위원. 복지국가 society 정책위원. (사) 대륙으로 가는길 정책위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
※ 이 기사는 시사타임즈의 공식입장이 아닌, 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채순 기자 parkcoa@naver.com
'사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중요해진 문재인 역할 (0) | 2019.03.04 |
---|---|
[칼럼] 무지가 판치는 대한민국 (0) | 2019.03.04 |
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21) (0) | 2019.02.27 |
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20) (0) | 2019.02.25 |
[칼럼] 正名운동으로 바라보는 근대사의 비극 (0) | 201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