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방산 민간인희생자 유해 100여 개체 추가 확인
전주시, 16일 유가족에게 발굴 현장 공개회· 중간보고회 진행
발굴조사 후 감식·유품 정리 거쳐 세종추모의 집에 유해 안치
[시사타임즈 = 박현석 기자] 한국전쟁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전주지역 민간인 희생자 유해가 잠든 황방산에 대한 유해 발굴을 통해 100여 개체의 유해가 추가 발굴됐다.
이는 지난 1·2차 조사에서 확인된 유해 78여 개체보다 많은 것으로, 전주시는 발굴조사가 완료된 이후 감식 및 유품 정리를 거쳐 세종추모의 집에 유해를 안치할 예정이다.
시는 16일 효자동 황방산 유해발굴 현장에서 전주대학교 박물관 조사팀과 자문위원, 유족회원, 시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3차 유해발굴 유가족 현장공개회 및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중간보고회에서 참석자들은 유해발굴 조사를 맡은 박현수 전주대학교 박물관 학예실장으로부터 효자동 황방산 유해발굴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듣고, 향후 진행과정 등을 논의했다.
이번 조사 결과, 황방산 유해매장 추정지에서는 3열의 구상유구와 수혈 3기, 2차 매장지 3곳 등이 확인됐으며, 총 100여 개체의 유해가 발굴됐다.
3열의 유해매장 구상유구 내부에서는 신발과 안경, 단추 등의 다양한 유류품이 출토됐고, 유류품과 함께 희생자의 주변에서는 M1소총 탄피와 칼빈소총 탄피 등 당시 군인 또는 경찰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무기류도 같이 발견됐다.
특히 단독으로 매납된 수혈을 통해서는 학살 당시 희생자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자료도 확인됐다.
이번 발굴조사는 이달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2019년부터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의 유해를 발굴하기 위해 발굴조사 및 전수조사 등을 진행해왔다. 지난 2019년과 2020년 1~2차 발굴조사를 통해 효자동 황방산에서 확인된 유해 78여 구를 발굴해 세종추모의 집에 안치했다.
이번 발굴조사를 맡은 박현수 전주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은 “긴 구를 굴착하고 학살 후 매납하는 행위는 일정한 계획에 의해 학살이 자행되었음을 보여준다”며 “일부 구덩이를 통해 학살 전후 상황 등을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주시 관계자는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에 맞춰 과거사 정리 및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 회복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유해 안치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출처] 황방산 민간인희생자 유해 100여 개체 추가 확인|작성자 시사타임즈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연금공단 경인지부-영통종합사회복지관, 취약계층 지원 위한 업무협약 체결 (0) | 2023.06.16 |
---|---|
로레알 그룹-중소벤처기업부, 디지털 및 뷰티테크 분야에서 오픈이노베이션 추진 (0) | 2023.06.16 |
코이카, 글로벌 서포터즈 ‘위코 5기’ 모집 (0) | 2023.06.16 |
태백시, 생활인구 확대에 총력 (0) | 2023.06.16 |
정의사법실천연대-국민주권정치연대, ‘정치개혁과 검찰·사법개혁 시민토론회’ 개최 (0)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