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예/문화·일반연애

고창농악, 세계유산도시에 흥겨움 더한다

고창농악, 세계유산도시에 흥겨움 더한다

호남우도 영무장 농악 계승하며 고깔소고춤, 설장구 등 최고의 예인 배출

연간 수천명의 전수생들이 고창농악 배우며 전국의 농악문화 주도

 

 

[시사타임즈 = 하병규 기자] 고창농악은 ()고창농악보존회를 중심으로 고창군의 14개 읍·면 농악단연합회와 지역과 전국의 고창농악 동호인들이 가꿔나가는 문화공동체다.

 

고창농악은 호남우도 영무장(영광, 무장, 장성, 함평) 농악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전라 남북의 고창 출신과 고창 거주 예인들이 그 중심에 있다. 특히 접경지역에 위치한 지정학적인 영향으로 예부터 윗녘 가락은 빠르고 아랫녘 가락은 느린데, 고창농악은 그 중간에 위치하여 간이 잘 맞는다.’라는 말이 전해진다.

 

▲한옥자원활용 상설공연 (사진제공 = 고창군) (c)시사타임즈

 

고창농악은 1998년 정창환 소고 명인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고깔소고춤 예능보유자 지정을 시작으로 1999년 황규언 상쇠 예능보유자 지정을 거치며 전국 농악판을 주름잡기 시작한다. 2000 ()고창농악보존회는 전북무형문화재 제 7-6호 고창농악 보유단체로 지정되었고, 그 후 2005년 정기환 명인이 설장구 예능보유자 지정을 받았다.

 

이명훈(고창 고수, 1968) 상쇠는 30여 년간 고창농악의 절차와 가락들을 기록·연구·복원·전승해 현 고창농악의 전승문화가 정립되는 과정의 대부분의 토대를 세웠다. 그는 지역의 농악명인들과 문굿, 풍장굿, 도둑잽이굿 등을 재현해냈으며, 나아가 전승교육·공연·축제·연구 프로그램 등을 개발·운영하여 현재의 고창농악전수관의 기틀을 마련했다.

 

▲고창농악보존회 상쇠 이명훈 (사진제공 = 고창군) (c)시사타임즈

 

그 과정에서 고창농악 전승 단체와 공동체가 생겨났다. 전승교육에 있어서는 1993년에 불과 14명으로 시작한 고창농악전수교육이 30여년이 지난 지금 한해 수천명의 전수생이 거쳐 가고 있다.

 

()고창농악보존회는 고창군 성송면에 위치한 고창농악전수관에 자리해 전국을 대상으로 한 교육·공연·축제·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교육사업은 전국의 농악인들을 대상으로 한 사시사철 굿피는 고창’, ‘전통예술학교’, ‘인문학 콘서트’, ‘꿈피는 문화뜰  20개 프로그램에 35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공연은 마당공연의 무대화인 풍무’, 판굿의 연출적 해석을 시도한 판굿1.3’, 연기와 다양한 연희들이 결합된 연희극 감성농악 시리즈’, 옛 현장 굿판의 재미를 전하는 고창농악 상설굿판  9개 프로그램에 65회 개최 등 다양한 공연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통연희축제인 꽃대림축제’, 고창농악 동호인들이 함께 하는 고창굿한마당’, 14개 읍· 고창농악경연대회등을 꾸준히 기획·운영해 왔으며, 관람 방문객만도 년 4000여 명에 이른다.

 

▲고창농악이 읍성 광장에서 판굿을 치고 있다 (사진제공 = 고창군) (c)시사타임즈

 

전승교육사업은 교육신청 오픈 3분 만에 매진될 만큼 인기가 좋다. 주말 동안 고창농악전수관에 내려와 고창을 돌아다니거나 악기를 치며 머무는 굿 스테이(2023)’ 프로그램 역시 다양한 사람들의 신청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 명창 진채선의 이야기를 농악과 국악으로 풀어내는 국악뮤지컬 이팝:소리꽃이나 전통 판굿의 재미와 흥을 느낄 수 있는 고창농악 상설굿판을 즐기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고창을 찾는다.

 

고창농악 전수(현 사시사철 굿피는 고창)’ 2007년 실인원 70여 명의 인원이 머물 수 있는 숙소동이 지어졌고, 전수활동과 함께 꾸준히 사용되었으나 최근 공간부족과 노후화로 인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나아진 환경에서 고창농악을 전수받는 학생들 (사진제공 = 고창군) (c)시사타임즈

 

이에 최근 심덕섭 고창군수와 윤준병 국회의원이 숙소동 건립을 위해 2023년 특별교부세 사업으로 10억원(총사업비 26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숙소동이 증축되면, 일시에 150명 이상이 이용할 수 있는 숙박시설을 갖추어 고창농악을 찾는 이들에게 더 나은 문화예술향유 및 체험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오늘날 고창농악이 지역을 넘어 세계에서 인정받는 무형문화유산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군민 모두가 하나되어 함께 신명나는 판을 꾸려온 덕분이다 앞으로 고창농악이 세계로 뻗어 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하병규 기자 abung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