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674)] 작은마음동호회

[책을 읽읍시다 (1674)] 작은마음동호회

윤이형 저 | 문학동네 | 356| 14,500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11편의 단편이 묶인 이 책에서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따뜻하고 현실적인 윤이형 소설을 만날 수 있다. 작가는 자신의 가장 매력적인 두 장점, 즉 세계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명민한 통찰력과, 판타지와 SF를 넘나드는 한계 없는 상상력을 자유자재로 결합해 흥미롭고도 깊이 있는 소설을 완성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표제작 작은마음동호회는 최근 페미니즘 진영에서 뜨겁게 논의되고 있는 기혼/비혼 여성 간의 갈등을 그린 단편이다. 가사와 육아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아부어야 하는 기혼 여성들이 정치적 존재로 살아가기 위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나가기로 결심한다. 그들은 작은마음동호회라는 모임을 만들고 그 결심을 책으로 묶어 가족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승혜와 미오에는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갖는 일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입장을 가진 레즈비언 커플이 등장한다. 자녀 계획에 대한 고민은 보편적인 것이지만, 이 고민이 퀴어의 몫이 되는 순간 문제는 더욱 복잡해진다. 모성을 지닌 레즈비언과, 그들을 주입된 정상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존재로 여기는 이들 간의 길고 첨예한 갈등이 한 편의 소설에 압축되어 있다.

 

마흔셋은 아무것도 책임지고 싶지 않은 장녀 재경과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버리고자 치밀하게 인생을 계획한 차녀 재윤’, 그리고 재윤이 그토록 버리고 싶었던 자궁에 암이 생겨 세상을 떠난 엄마의 삶을 교차시키며 한 가족의 구성원들이 서로 얼마나 다른 인생을 꿈꾸는지 보여준다. 서로를 백 퍼센트 이해할 수는 없더라도, 각자의 삶을 유지하며 성기게 공존하더라도, 그것 또한 가족의 여러 형태 중 하나라는 사실이 뭉클한 여운과 함께 전달된다.

 

피클은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 알면 알수록 연대가 어려워지는 아이러니에 대해 고민한 작품이다. 피해자와의 사적인 관계, 당사자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 주위 사람들의 평판 등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존재가 있을까. 우리는 세상에 속해 있는 한, 피클 단지 속의 오이처럼 붉게 물들어갈 수밖에 없다. ‘객관적인 진실을 가려내는 것이 과연 연대자의 몫일지, 피해자에게 냉정하고 객관적인 대처를 요구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 소설은 묻는다.

 

의심하는 용하줄라프 1용기사의 자격하줄라프 2는 용과 인간이 공존하는 도시국가 하줄라프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연작소설이다. 이곳에서 용은 용기사와 함께 전장에서 싸우다가 이성을 잃고 무고한 이들을 공격하며, 용기사는 그런 용 대신 자처해서 사형을 받는다. 이러한 일이 반복되자, 무의미한 전쟁에 동원되는 것이 정말 자신의 소명인지 의심하는 소수의 용들이 하줄라프의 비밀을 풀기 위해 나선다. 이어지는 현실세계의 이야기에서는 IS에 입대한 후 소식이 끊긴 아들을 둔 어머니들과 연대하고자 했던 전직 기자 엘렌의 이야기가 겹쳐진다. 그는 연대자인 자신이 피해자 집단에서 유리되는 경험을 한 후 자신에게 연대할 자격이 있는지, 연대의 자격이란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이것이 우리의 사랑이란다는 여성혐오를 비판하는 미러링소설이다. 이 작품의 배경은 외계의 존재들이 지구에서 많은 남자들을 납치해간 세계다. 밀실에 갇혀 육체적·감정적으로 착취당하는 남자에게 미지의 존재들의 관심과 사랑은 폭력에 불과하고, 그것은 과거에 남자가 아내에게 보여준 사랑의 방식과 닮았다.

 

수아는 가사용으로 제작된 여성형 로봇 수아들이 자신들의 권익을 찾기 위해 체제를 전복하는 세계를 그린다. 기성세대 여성인 는 로봇이 차별받는 현실을 안타깝게 여기지만 그것이 시혜적인 태도라는 것은 인지하지 못한다. 반란을 일으킬 능력이 없다고 여겼던 수아들에게 습격당한 는 남자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도망치지만, 남자들에게 자신은 동등하지 못한 존재, 즉 수아와 같은 여성이자 약자라는 것을 깨닫는다.

 

마지막 단편 역사에서는 이 세상의 모든 소수자가 겪는 폭력을 담아내는 상상력과 비유가 돋보인다. 공격을 당해 몸이 잘릴수록 점점 수가 늘어나는 가상의 존재들을 절멸의 위기에 빠뜨리는 것은 침묵의 강이다. 그들은 이 강의 독한 물에 몸이 녹으면 다시는 재생되지 못하고 죽는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라진 줄 알았던 이들의 목소리가 강물 속에서 합쳐져 어느새 우레 같은 노래로 울려퍼진다.

 

이 소설집에서 완전무결하지 않은 우리의 작은 마음들을 섬세하게 묘사한다. 그것은 다른 이들에게는 당연하게 주어진 일상을 힘겹게 쟁취한 끝에, 자신이 갖지 못했던 그 삶이 실상은 별것 아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안도의 눈물을 흘리곤 하는 마음이다. 또는 가까이 지내던 이에게서 자신과 너무도 다른 모습을 발견하고, 그것을 이해할 수 없어 답답해하고 부끄러워하는 마음이다. 윤이형의 인물들이 처한 상황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그들의 고뇌하는 목소리는 어느덧 우리 자신의 것으로 들려온다.

 

여성과 남성, 퀴어와 비퀴어 등 소수에 대한 다수의 무지가 일으키는 갈등, 하물며 같은 곳을 바라보며 함께했던 이들마저 연대의 자격을 논하며 와해되는 안타까운 상황 속에서, 윤이형의 인물들은 이 난관을 타개할 당위와 이상을 논하는 대신 그래서 얼마나 슬프고 아팠는지, 어떻게 절망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진솔하게 털어놓는다. 그렇게 각자의 고통을 고백하고 공유해야만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므로. 다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방황하며 답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고, 그렇다면 완벽하지 않은 지금 모습 그대로도 의미를 지닌다는 윤이형의 문장들은 상처 입은 우리에게 가장 적실한 위로를 건넨다. 

    

 

작가 윤이형 소개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하다가 그만두고 2005년 단편 검은 불가사리로 중앙신인문학상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큰 늑대 파랑2008[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도서출판 작가)에 올해의 선정작으로 수록되었다. 소설집셋을 위한 왈츠』『큰 늑대 파랑』『러브 레플리카, 중편소설개인적 기억, 청소년소설졸업, 로맨스소설설랑등을 펴냈다.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문지문학상, 2019 이상문학상을 받았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