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803)] 일곱 해의 마지막

[책을 읽읍시다 (1803)] 일곱 해의 마지막

김연수 저 | 문학동네 | 248| 13,500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개인이 밟아나간 작품 활동의 궤적을 곧 한국소설의 중요한 흐름 가운데 하나로 만들어내며 한국문학의 판도를 뒤바꾼 작가 김연수의 신작 장편소설. 삼십 년 가까이 작가생활을 하는 동안 김연수는 에너지와 불안으로 가득한 청춘의 눈빛을 가장 가까이에서 기록하는 한편으로 사랑의 본질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며 그만의 지적인 사랑학 개론을 펼쳐왔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방대한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사실로는 가닿을 수 없는 빈틈에서 개인의 진실을 발견해내는 작업을 해오기도 했다.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이후 8년 만에 펴내는 이번 장편소설은 청춘, 사랑, 역사, 개인이라는 그간의 김연수 소설의 핵심 키워드를 모두 아우르는 작품으로, 한국전쟁 이후 급격히 변한 세상 앞에 선 시인 기행의 삶을 그려낸다.

 

1930~40년대에 시인으로 이름을 알리다가 전쟁 후 북에서 당의 이념에 맞는 시를 써내라는 요구를 받으며 러시아문학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하는 모습에서 기행이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시인 백석을 모델로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기행은 원하는 대로 시를 쓸 수 없는 상황, “희망과 꿈 없이 살아가는 법까지도 새롭게 배워야만 하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어떻게든 시를 붙들려 하지만 번번이 현실의 벽에 부딪힌다.

 

시를 향한 마음이 아무리 간절하더라도, 개인을 내리누르는 현실의 무게가 압도적이라면 그 마음은 끝내 좌절되고야 마는 걸까. 속수무책의 현실 앞에서 작가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도저히 버려지지 않는 마음, 끝내 이루지 못한 꿈은 어떻게 되는 걸까.

 

일곱 해의 마지막은 이러한 물음을 안고 한 명의 시민이자 작가로서 어두운 한 시절을 통과해온 끝에 마침내 김연수가 내놓은 대답처럼 보인다.

 

 

작가 김연수 소개

 

970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전통적 소설 문법의 자장 안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소설적 상상력을 실험하고 허구와 진실,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가 김연수. 1993작가세계여름호에 시를 발표하고 이듬해 장편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제3회 작가세계 신인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에 나섰다.

 

대표작에 장편소설 원더보이,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 7번 국도, 꾿빠이, 이상, 사랑이라니, 선영아,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밤은 노래한다, 소설집 사월의 미, 칠월의 솔, 스무 살,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산문집 우리가 보낸 순간, 지지 않는다는 말, 언젠가, 아마도, 시절 일기, 청춘의 문장들, 여행할 권리, 청춘의 문장들+, 등이 있다. 역서로는 대성당(레이먼드 카버), 기다림(하 진), 젠틀 매드니스(니콜라스 바스베인스), 달리기와 존재하기(조지 쉬언) 등이 있다.

 

2001꾿빠이, 이상으로 제14회 동서문학상을, 2003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로 제34회 동인문학상을, 2005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제13회 대산문학상을, 그리고 2007년에 단편 달로 간 코미디언으로 제7회 황순원문학상을, 2009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