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예/북스

[책을 읽읍시다 (2158)] 슬픔의 방문

[책을 읽읍시다 (2158)] 슬픔의 방문

장일호 저 | 낮은산 | 256 | 15,000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굵직한 탐사보도와 깊이 있는 기사들로 바이라인을 각인시킨 [시사IN] 기자 장일호의 첫 책. “통째로 한 편의 시 같다”, “이것이 뉴스스토리다라는 찬사와 함께 오래도록 회자되는 그의 기사들은 유통기한이 없다.

 

현실에 발 딛고 선 문장들은 단단함이 지닌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많은 이들에게 알려주었다. 문화팀, 사회팀, 정치팀을 두루 거쳐 오며 그가 가장 오래 머문 현장은 세상에서 밀려난 장소들이었으며, 가장 마음을 기울인 사람들은 세상이 눈감은 이들이었다.

 

그는 기자의 일이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더 자주 써야 하는 일이라며 한탄하지만, 그의 손에 단단히 쥐인 물음표는 서늘한 현실을 바닥까지 파헤쳐 기어이 한 줌의 온기를 품은 마침표를 건져 올리곤 했다.

 

장일호의 에세이 슬픔의 방문은 아프고 다친 채로도 살아갈 수 있는 세계를 꿈꾸며 슬픔에게 건네는 온기 어린 마침표이다.

 

아버지는 자살했다.”

이 책은 강렬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장일호는 아버지의 죽음을 삼십 년 가까이 교통사고로 알고 살았다. 고작 스물아홉의 젊은 나이에 청산가리를 구해 스스로 세상을 등진 아버지.

 

아버지 죽음의 진실을 알게 된 그는 배신감과 고통으로 울부짖는 대신, 아버지는 본인이 그토록 바라던 멋진 글 대신 멋진 나를 남겼으니까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해 버린 건 아닐까라고 유쾌하게 정리한다.

 

살면서 가끔 필요하고 때로 간절했던 부정의 결핍을 극복하게 해준 것은 책이었다.

 

소설가 김애란의 달려라, 아비의 문장과 행간에서 일종의 연대를 느끼면서 그는 아버지의 없음은 물론, 어머니의 있음까지 극복한다.

 

가난했던 유년 시절부터 기자로 살아가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슬픔들이 구체적인 얼굴을 띠고 그의 삶을 찾아왔다. 어느 날은 지하 방에 차오르던 장맛비의 모습으로, 어느 날은 중환자실에 누운 할머니 발의 버석거리는 촉감으로, 또 어느 날은 무성의하게 몸에 붙여지는 환자 식별 스티커의 모양으로.

 

장일호는 “‘지나간다는 말 안에 얼마나 많은 고통이 웅크리고 있는지 아는 사람이다. 그리하여 한 사람을 온전히 담을 수 있는 단어 같은 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사람이다.

 

자살 유가족’, ‘성폭력 피해자’, ‘암 환자 같은 세상이 명명한 단어로는 도저히 담을 수 없는 자신을 설명할 언어를 그는 책 속에서 구한다. 책은 그에게 닥친 사건들이 그를 불행한 사람으로 만들도록 두지 않았다.

 

아버지의 죽음을 자신에게 남긴 사랑으로 치환할 수 있게 해주었고, 그를 피해자의 자리에서 생존자의 자리로 이동시켜 주었다. 아직 오지 않은 또 다른 세상을 상상할 수 있게 해주었다.

 

슬픔의 방문은 슬픔이 찾아온 날들에 관한 기록이면서, 슬픔을 곁에 둔 채로도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책 속에서 찾아가는 눈부신 여정이기도 하다.

 

 

작가 장일호 소개

 

시사IN’ 기자. 야망은 크지만 천성이 게을러 스스로를 자주 미워한다. ‘망했다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지만 정말 망해 버리고 싶지는 않다. 묻어가는 일에 능하고 드러나는 일에 수줍은 사람. 이토록 귀찮은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가 궁금해서 책 읽고, 산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