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읍시다 (580)] 해변빌라
전경린 저 | 자음과모음(이룸) | 224쪽 | 12,0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섬세하고 감각적인 필치로 우리 시대 여성의 삶을 기록해 온 작가 전경린의 열한번째 장편소설. 『최소한의 사랑』이 내재한 상실의 체험과, 뜨거운 문제의식이 돌출된 『열정의 습관』을 넘어, 이 작품은 우리 시대의 ‘그/녀’들에게 부과된 ‘괄호 쳐진’ 삶과 사랑에 관해 이야기한다.
‘유지’는 어린 시절 큰 고모부를 아버지로 알고 살았지만 그의 죽음과 더불어 작은 고모인 ‘손이린’이 생모임을 알게 된다. 크레바스를 건너듯 단숨에 그녀의 삶이 변하고, 이린과 함께 새로운 생활을 꾸려나가게 됐다는 사실 앞에서, 유지는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보이지 않는 사람처럼 행동하기 시작한다. 그런 그녀에게, 생물 교사인 ‘이사경’의 존재는 각별하다. ‘침묵의 음성’을 가진 그에게 유지는 특별한 감정을 갖게 되고, 자신의 감정과 존재성을 인정받기 위해 그의 앞에서 옷을 벗는다. 어린 제자의 돌발적 행동 앞에서 이사경은 당황하고, 곧 이 사건은 그의 아내인 ‘백주희’의 귀에까지 들어간다. 그러나 생각과 달리 이사경의 어머니인 ‘노부인’은 유지를 손자인 ‘연조’의 피아노 교사로 집에 들이고, 되려 유지를 다그치는 이는 백주희가 아닌 손이린이다. 이 묘한 관계성 속에서, 유지는 이린과 사경의 관계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는데….
‘삶이란 부재의 사과를 깎는 일’이라는 이린의 말처럼, 우리에게 사랑이나 이별이라는 존재 양식이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은 그것이 지나가버렸을 때 즉 부재했을 때다. 모든 갈등과 슬픔, 고독과 공허를 바다로 흘려보낼 때, 비로소 강의 줄기들이 드러나는 것처럼.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사랑과 이별을 반복하는 것은, 이 같은 체득을 넘어서는 초월적인 공간들이 항상 새롭게·불현듯 나타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삶의 진실’이란 항상 그러한 잠재적 공간에서 출몰하기 마련이다.
피아노를 치는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자신이 때리고 있는 건반일까, 아니면 자신의 청각을 때리고 있는 소리의 파장일까. 모든 음악이 관계 속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을 망각한다면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 요컨대 “왜 무(無)가 아니라 어떤 것이 존재하는가?”라는 라이프니츠의 물음에서부터, “인간은 항상 하나의 무(無) 때문에 자기의 본질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라는 사르트르의 단언으로 다가설 때, 우리는 다분히 철학적 테제로서만이 아니라 현실적 고민으로서 이 문제를 돌파해야 할 필요성을 직감하는 것이다.
인물들의 가변적 정체성이란 결국 이 같은 불안정한 상태를 대변한다. 이 불안정함 속에서 유지를 포함한 인물들은 ‘물 위에 떠서’ 살아가는 듯 보인다. 아무 곳에도 뿌리내리지 않고 살아가는 수생식물처럼. 더불어 그런 의미에서 그들의 삶이 ‘폐해수욕장’이라는 공간에서 지속된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바다는 언제나 열린 공간인 듯 보이지만, 바다 위를 떠다니던 쓰레기와 이물질이 매일 밀려오는, 인적 드문 폐해수욕장은 과연 열린 공간일까.
작품 속에 계속해서 등장하는 사르트르와 보부아르의 ‘사랑’ 이야기는 하나의 이야기 속에 감춰진 복수의 ‘이야기들’을 소환하는데 이는 마치 ‘유지-사경’, ‘유지-휘’, ‘유지-연조’라는 각각의 관계를 연쇄적으로 뭉뚱그려내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관계가 무너져 내릴수록 새로운 관계가 나타나고, 다시 무너진다. 파도가 해변과 만나고, 헤어지고, 다시 만나듯이.
그렇다. 미학적 관점에서 해변이 주는 낭만과 검푸른 고요와는 무관하게도, 어쨌든 우리의 생활은 삐걱대며 어딘가로 향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모든 강물이 바다로 향하지 않듯, ‘사랑이라는 생활’이 가진 무게와 그 무게를 지탱하는 강렬함 속에서 여전히 우리는 방황한다. 그 방황을 허영이라 부를 수도 있겠지만, 폐해수욕장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주인(편 사장)의 말처럼 우리는 그 방황의 ‘바깥’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 바깥엔 무엇이 있나? 어쩌면 당신과 내가 살아가는/사랑하는 공간 바깥에 존재하는 것들에 관해, 우리는 서로 여전히 아무것도 모르고, 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닌가.
요컨대 우리가 ‘삶의 진실’이라고 부르는 것은, ‘해변 빌라’로 상징되는 작품 속 공간처럼 다가서려고 노력하지만 결코 다다를 수 없고, 오직 지나친 후에만 발견되는 장소에 속한 듯하다. 하지만 반복되는 생활과 지리멸렬한 사랑의 여정 속에서 우리가 끝내 찾아내야 하는 진실이란, 이 장소에 관한 불가능한 서사가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부재’와 ‘사랑-생활의 반복’이라는 무조음(無潮音) 위로 불현듯, 여우비가 되어 떨어지는 소리의 조각들에 관한 것이 되어야 한다.
작가 전경린 소개
흔히 '귀기의 작가' '정념의 작가' '대한민국에서 연애소설을 가장 잘 쓰는 작가'로 불리는 소설가 전경린은 이미지의 강렬함과 화려한 문장으로 기억된다. 서른 세 살. 아이와 피와 심지어 죽음조차 삶이 모두 허구라는 것을 느낀 작가는 허구가 아닌 삶의 실체를 갖고자 소설을 쓰기로 시작했다.
1993년 작가의 가족은 마산 옆 진양의 외딴 시골로 이사를 갔다. 꽤나 적적한 곳이었지만 여기서 전경린은 `뭔가가 밖으로 표출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었고, 3년 가까이 사람들과 인연을 끊다시피 하고 들어앉아 많은 글을 써냈다. 자기 욕망에 충실한 내면적 세계와 질서화 되고 체제화 된 바깥 세계 사이의 작용과 긴장과 요구 속에서 갈등하는 여성과 여성적인 삶이 문학적 관심사다.
작가의 본명은 안애금. 전혜린을 연상시키는 전경린이라는 이름은 옛날 신춘문예에 응모할 때 임시로 지었다. 당시 누가 `린'이라는 화두를 주었고, 차례대로 `경'과 `전'을 추가해서 `전경린'이라는 이름을 완성시켰다. 작가도 물론 `전혜린'을 떠올렸다. 작가는 전혜린을 좋아한다. 그리고 전혜린뿐 아니라 나혜석, 윤심덕 더 올라가서 황진이까지 소위 강한 자의식 때문에 고통 받고 분열될 수밖에 없었던 선각자적 여성을 좋아하고 흠모한다.
1963년 경남 함안에서 태어났으며 경남대학교를 졸업하고, 마산 KBS에서 음악담당 객원 PD와 방송 구성작가로 근무했다. 그 후 운동권이었던 남자와 결혼하여 딸과 아들을 낳고 평범한 주부로 살다 둘째를 낳은 후인 1993년부터 본격적인 습작에 들어갔다. 199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소설 부문에 「사막의 달」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하하였으며 1997년 「염소를 모는 여자」로 제29회 한국일보 문학상, 1997년 장편소설 『아무 곳에도 없는 남자』로 제2회 문학동네 소설상, 1998년 단편소설 「메리고라운드 서커스 여인」으로 21세기 문학상, 2004년 단편소설 「여름휴가」로 대한민국소설문학상 대상, 2007년 단편소설「천사는 여기 머문다」로 제31회 이상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소설집 『염소를 모는 여자』, 『바닷가 마지막 집』, 『물의 정거장』, 장편소설 『아무 곳에도 없는 남자』,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난 유리로 만든 배를 타고 낯선 바다를 떠도네』, 『열정의 습관』, 『검은 설탕이 녹는 동안』, 『황진이』, 『엄마의 집』과 어른을 위한 동화 『여자는 어디에서 오는가』, 산문집 『붉은 리본』, 『나비』 등이 있다.
전경린의 베스트셀러인 『내 생에 꼭 하루뿐인 특별한 날』은 2002년 변영주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기도 했다. 가정의 틀안에서 안주하던 한 여성이 내면에 지닌 혼란스런 욕구를 발견하고 자아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나타나는 일탈과 매혹에 대한 이야기이다. 또한 이상문학상 수상작인 「천사는 여기 머문다」는 인간 본성의 양면성을 섬세한 문체와 절제된 기법을 통해 감동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삶의 현실에 대한 고뇌와 갈등을 내면화하는 데에 성공하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
대표적인 작품 『엄마의 집』에서는 처녀의식을 가진 엄마들에게 “미스 엔”이라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아버지에게도 남편에게도 자식에게도 종속당하지 않는 미스 엔이 그녀의 소설 속에서 새롭게 탄생한 것이다. 여성들의 욕망에 주목해 온 작가답게, 현실의 엄마가 놓인 지형을 넘어서는 대안적이고 이상적인 집의 전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박속심 기자(sisatime@hanmail.net)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읽읍시다 (583)]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0) | 2014.11.11 |
---|---|
[책을 읽읍시다 (582)] Paint It Rock(전 3권) (0) | 2014.11.10 |
[책을 읽읍시다 (579)] 쿠엔틴 타란티노 (0) | 2014.11.05 |
[책을 읽읍시다 (578)] 그토록 순수한 녀석들 (0) | 2014.11.04 |
[책을 읽읍시다 (577)] 빨리 걸을수록 나는 더 작아진다 (0) | 201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