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796)] 물에 잠긴 아버지

 
 
 
[책을 읽읍시다 (796)] 물에 잠긴 아버지

한승원 저 | 문학동네 | 288쪽 | 12,0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육이오전쟁 직후 인민군이 장악해 ‘모스크바’라고 불린 장흥군 유치면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남로당의 골수분자였던 김오현의 아버지는 퇴각하는 인민군을 따라가지 못하고 빨치산이 되어 유격투쟁을 벌이다 죽는다. 뒤이어 어머니와 할머니, 그리고 네 명의 형들이 아버지에게 숙청당한 사람의 유가족들에 의해 처참한 죽임을 당한다. 그 와중에 간신히 살아남은 할아버지는 외가로 몸을 피해 목숨을 건진 유일한 혈육인 오현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할아버지의 삶의 목적은 가문을 일으키고 이어나가는 것이었다. 고등학생이던 오현을 서둘러 결혼시키고 “힘이 있는 데까지” 자식을 낳아야 한다는 말을 유훈으로 남길 정도였다. 할아버지의 바람대로 오현은 시대에 순응하며 유순한 삶을 살아간다. 자신을 조롱하는 친구들에게 성적인 수모를 당하고 옆집의 노총각에게 아내를 추행당하고, 대출까지 끌어다 시작한 장사가 불운한 사고로 망하고도 자신 외에는 누구도 책망하지 않는 것이다. 오현은 다만 끊임없이 자식을 낳는 것으로 스스로의 존재 이유를 증명했다.


김오현의 삶은 대체로 불운했다. 자신의 의지가 아닌 할아버지의 결핍을 채우기 위한, 혹은 이 결핍을 자식들에게 대물림하지 않기 위한 간절한 몸부림이 바로 그의 인생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럼에도 계속 살아가겠다’는 역설적인 희망 또한 찾을 수 있다. “산아제한을 철저하게 실천한 세대”이면서 열한 명이나 되는 자식을 낳은 것은 어쩌면 무력한 시대를 건너는 가장 의욕적인 삶의 방식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오현의 삶이 불운했다고 해서 불행했다거나 실패한 것은 아니다. 오현이 가장 애정을 쏟은 자식은 일남이었지만 일남은 결국 오현의 결핍을 채우는 대신 스스로의 인생을 개척해나간다. 오현의 쪽에서는 실패였지만 일남의 쪽에서는 실패가 아닌 삶을 살게 된 것이다. 다른 열 명의 자식들도 고단하지만 적극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 우리의 삶이 무엇으로 결정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설령 어떤 절대자가 지어놓은 결에 따라 밀려나는 것일지라도 우리는 우리의 삶을 살아볼 권리가 있다. 한승원의 소설에는 이러한 당위가 살아 있다.



작가 한승원 소개


자신의 고향인 장흥, 바다를 배경으로 서민들의 애환과 생명력, 한(恨)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다루어온 작가.


1939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나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1968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목선」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한승원은 한국 문학에서 독보적 위상을 가지고 있는 작가다. 그의 작품들은 늘 고향 바다를 시원(始原)으로 펼쳐진다. 그 바다는 역사적 상처와 개인의 욕망이 만나 꿈틀대는 곳이며, 새 생명을 길어내는 부활의 터전이다. 그는 지난 95년 서울을 등지고 전남 장흥 바닷가에 내려가 창작에 몰두하고 있다.


한승원의 소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한'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제 소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한'이 아니라 '생명력'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프랑스 작가 로맹 가리는 독자들이 만들어놓은 '가면'을 거부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한승원은 토속적인 작가다' 하는 것도 게으른 평론가들이 만들어놓은 가면일 뿐이지요. 작가는 주어진 얼굴을 거부해야 합니다. 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반, 장편 '연꽃바다'를 쓸 때부터 제 작품세계는 크게 변했습니다. 생명주의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는 것인데, 저는 그것을 휴머니즘에 대한 반성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인간 본위의 휴머니즘이 우주에 저지른 해악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는 노장(老莊)이나 불교 사상에 있다고 봅니다."


소설집 『앞산도 첩첩하고』 『안개바다』 『미망하는 새』 『폐촌』 『포구의 달』 『내 고향 남쪽바다』 『새터말 사람들』 『해변의 길손』 『희망 사진관』, 장편소설 『아제아제 바라아제』 『해일』 『동학제』 『아버지를 위하여』 『까마』 『시인의 잠』 『우리들의 돌탑』 『연꽃바다』 『해산 가는 길』 『꿈』 『사랑』 『화사』 『멍텅구리배』 『초의』 『흑산도 하늘길』 『추사』 『다산』 『원효』 『보리 닷 되』 『피플 붓다』 『항항포포』 『겨울잠, 봄꿈』 『사랑아, 피를 토하라』 『사람의 맨발』, 산문집 『허무의 바다에 외로운 등불 하나』 『키 작은 인간의 마을에서』 『푸른 산 흰 구름』 『이 세상을 다녀가는 것 가운데 바람 아닌 것이 있으랴』 『바닷가 학교』 『차 한 잔의 깨달음』 『강은 이야기하며 흐른다』 등이 있다.


소설가 한강, 한동림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