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설, 칼럼

[칼럼] 正名운동으로 바라보는 근대사의 비극

[칼럼] 正名운동으로 바라보는 근대사의 비극


[시사타임즈 = 장계황 박사] 사람이나 사물이나 불리는 이름이 있다. 이름은 그 자체에 대한 정체성으로 이름은 그것을 나타내는 전부로서 아주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 근대사에 나타나 있는 여러 사건들의 이름을 보면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시대정신에 따른 이념이나 사상에 의해 제멋대로 재단이 되어 엉뚱하게 불리는 사태가 있어 바로 잡는 운동이 시급한 실정이다.

 

▲영토학자 장계황 한국역사영토재단 이사장 (사진자료 = 사사타임즈 DB) (c)시사타임즈

 

사관에 따른 시각

 

역사를 기록하고 또는 기록된 역사를 해석내지 분석하는 데는 사관이 지배한다. 사관이란 역사를 해석하고 설명하는 관점 또는 가설로서 그 시대의 정신이나 사회의 분위기를 반영하게 되어있다. 개인적인 이념이나 사상에 의해서도 관점이 다르지만 국가가 갖는 정체성에 따라서도 관점은 완연히 달라질 수 있어 바른 이름을 붙이는 정명운동은 항상 필요하다.

 

우리의 역사관은 왕조사관이다. 대체적으로 역사를 기록하거나 해석하는데 있어 왕을 기준으로 하여 보는 시각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 ‘어느 왕 몇 년도에 어떤 사건이 일어났다’라는 시각으로 기록하고 해석한다. 그러나 북한 사회는 민중사관에 의한 관점으로 역사를 기록하고 해석한다. 이런 차이가 어떤 사건에 대한 이름을 붙이는데, 같은 사건이라도 하더라도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사회는 “홍경래의 난”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북에서는 “홍경래의 민중항쟁”으로 표현한다. 이를 자세히 보면 왕의 시각으로 보면 당연히 난이지만 민의 시각으로 보면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항거로서 항쟁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사건이라고 하더라도 시각에 따른 이름은 달라지는 것이다.

 

‘3.1운동’과 ‘3.1혁명’

 

올해는 삼일절 100주년이 되는 해로서 아주 의미가 깊다. 3.1절은 국가에서 지정한 국경일로서 1919년 3월 1일에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렇게 중요한 기념일에 대해 이름이 심볼리즘이 되지 않아 여러 가지로 불린다. 3.1절, 3.1만세운동, 3.1운동, 3.1혁명 등으로 불리는데 이에 대해 3.1혁명으로 하자는 정명운동이 최근 일어나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3.1운동으로 불렀는데 3.1절이 갖는 의미와 사회에 끼친 영향 등으로 본다면 운동 그 이상의 가치와 변혁을 가지고 온 것이 결과적 사실이다 보니 혁명으로 정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이다. 혁명이란 헌법의 범위를 벗어나 국가 기초, 사회 제도, 경제 제도, 조직 따위를 근본적으로 고치는 일로서 3.1 독립선언은 민족이 당면했던 자주독립의 목표를 넘어 자유, 민주, 평등이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만들어 냈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사회의 근간이 되는 ‘민주공화국’이라는 근대 국가관을 정립하였고 우리사회 민중의 이상향을 정립한 계기가 된 것이다. 따라서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 같다.

 

‘광주 사태’와 ‘5.18민주화운동’

 

아직도 우리 귀에 ‘광주 사태’라는 말이 익숙해져 있다. 이후 5.18소요사태, 5.18광주민주화운동, 5.18민중항쟁, 광주민중항쟁 등으로 불리다 5.18민주화운동으로 정립이 되었다. 그리고 이 용어는 법적기념일로서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불리는 이름이다.

 

▲광주 소재 전라북도 도청 앞 광장에 모인 시민들 (사진자료 = 5.18기념재단) (c)시사타임즈

 

‘광주 사태’라 부르는 것은 이 사건을 만들어 낸 주동자들의 항변이다. 광주에서 문제가 일어나 군부를 동원하여 사태를 제압했다는 논리이고 이런 시각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군인과 경찰은 근본적으로 하는 일이 다르다. 군인은 민족과 민족 아니면 국가와 국가 단위에서 발생되는 전쟁에 동원이 되는 것이고 국내의 소요 등은 경찰의 몫인 것이다. 그러나 광주에서 촉발이 된 민주화 운동에는 군인을 동원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가 간 문제가 아님에도 군인을 동원하여 제압한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에서 광주라는 용어를 뺀 것은 의미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당시 상황을 보면 5.18일에 광주에서 민주화 운동을 펼쳤지만 그 이전·후에 이미 전국적으로 민주화 운동이 벌어져 진행이 되던 형태이고 5.18일에 광주에서 결정적인 날을 맞이한 것이기에 5.18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며 광주라는 특별한 지역을 뺌으로써 전국적인 민주화운동으로 불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름에서도 5.18은 상징적인 날짜이며 민주화운동이 정체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국가기념일로 제정이 되었는데 바른 이름을 사용해야 할 것이며 광주만의 특별한 지역의 기념을 넘어 국가단위의 민주화 성취에 대한 기념일인 것이다.

 

‘여순반란사건’과 ‘여순민중항쟁’

 

우리 근대사에서 가장 치열했고 사회의 이념적 변화를 가지고 온 사건이 있다면 아마 ‘여순반란사건’일 것이다. 우리는 근대사에서 항상 여순사건을 ‘반란사건’이라고 불렀고 이로 인하여 지역적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이 당시부터 우리 사회에 ‘빨갱이’란 용어가 등장하여 이념의 틀에 가두어 넣고 색깔논쟁에 들어가 남남갈등의 원인이 된 것이다.

 

이 용어를 ‘여순민중항쟁’으로 정명하자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데 아주 바람직 한 일이다. 반란이란 국가를 뒤집어 업으려는 시도가 있어야 쓸 수 있는 용어인데 이 당시 사건의 내용을 보면 그런 시도나 의도가 전혀 없음을 역사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여순 지역의 민중들이 정부군의 무차별한 행동에 항거한 민중항쟁이다. 이 당시 제주에서 4.3사건이 일어나자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향토군대인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을 제주 4.3사건에 토벌을 명령하자 국가를 지키는 군인의 신분으로 내국인 토벌에 대해 거부의사를 밝혀 일어난 일이다. 지역민으로 구성이 된 제14연대 구성원들을 제주의 내국인 학살을 위한 토벌작전에 나서라고 하는 부분에 대한 거부의사를 여순 지역의 민중들과 동일시하여 정부군이 민중을 무차별 학살한 사건으로 이에 대해 민중들이 항거한 항쟁인 것이다.

 

이 당시 해방정국에서 좌익과 우익의 대립으로 빚어진 민족의 비극인데 이승만 정부는 해당지역 주민이 반란의 주체라고 하여 무차별적으로 학살한 사건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가 운영에 대하여 매카시즘을 대입하고 독립투사들을 빨갱이로 몰아서 정적을 살해 하는 일이 벌어졌다. 또한 국가보안법을 이 당시 제정하여 강력한 반공국가를 만들어 간 사건이다.

 

▲여순민중항쟁 역사에서 지역민을 한 자리에 모아서 반란 참여자 색출 (사진자료 = 진실화해위원회) (c)시사타임즈

 

여순민중항쟁은 국가전복이나 정권전복을 획책한 것이 없어 반란이란 용어는 애당초 해당되지 않는다. 반란은 5.16이나 12.12같이 국가를 전복하고 수도를 점령하는 행태에 붙여져야 할 이름이다. 우리는 70년 이상 언어의 유희 속에 우리가 갇혀서 지역과 지역민의 이미지를 훼손했으며, 사건의 본질 보다는 언어유희에서 나타난 이미지를 통하여 이념의 틀을 왜곡하여 만들어 낸 것이다. 이제라도 바른 이름을 통하여 그 사건의 본질을 알아가야 할 것이다. 이 사건은 왜곡된 이념의 틀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려는 정치인들이 만들어 낸 비극이며 시대의 아픔이다. 아주 단순하다 민중들의 삶에 대한 항쟁이었던 것이다.

 

이제 우리사회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념의 틀에 갇혀 남남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근대사의 여러 사건들에 대해 정확한 정체성을 정립하여 미래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覺永堂 學人

靑島 장계황 / 行政學博士

 

한국역사영토재단 이사장

한러공생위원회 대표

대한민국ROTC중앙회 통일복지위원장

사단법인 ROTC 통일정신문화원 이사

 

 

※ 이 기사는 시사타임즈의 공식입장이 아닌, 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장계황 박사 ckh050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