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설, 칼럼

[ 칼럼 ] 세계기록유산 동학혁명과 4·19혁명

[ 칼럼 ] 세계기록유산 동학혁명과 4·19혁명


 



▲김동진 시사타임즈 호남본사 대표 (c)시사타임즈

[시사타임즈 칼럼 김동진 시사타임즈 호남본사 대표세계평화를 위해서 설립된 유엔기구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게 유네스코다. UNESCO는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의 약자다교육 과학 문화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한 국가 간의 협력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연합 전문기구 중의 하나다인류가 보호해야 할 문화유산을 세계유산으로 지정 보호하자는 것으로 195개국이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9개국은 준회원국이다본부는 프랑스 파리다문화의 중심지로서 오랫동안 역할을 했던 파리에 자리한 것은 자연스럽다.

 

세계기록유산 등록사업은 1992년부터 시작했지만 처음에는 머뭇거리던 나라들이 경쟁적으로 등재신청을 하는 통에 이제는 2년에 한번 씩만 신청을 받는다그것도 특정국가의 독점적 신청을 막기 위해서 국가 당 2건의 기록유산만 신청 받고 있지만 탈락이 많다기록유산의 가치가 있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다자기 나라에서는 매우 중요하고 가치 있을지라도 세계적인 시각에서 별게 아니라면 엄격하게 구성된 국제자문위원회(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의 심사를 통과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번에 우리 문화재청에서는 동학농민혁명기록물과 4·19혁명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등재신청 대상으로 선정하여 내년 3월 제출하기로 최종결정했다우리나라는 현재 조선왕조실록훈민정음,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등 13건을 보유하고 있다. 4·19혁명은 5·18보다 20년 앞서 독재정권을 무너트렸으며 방점을 찍어 주목해야 할 대목은 주체가 모두 학생이었다는 점이다세계 어느 나라에도 이런 사례는 없다순수한 열정만으로 혁명을 성공시킨 후 새로운 정권을 수립하는데 단 한 사람도 참여하지 않고 학원으로 돌아가 사회혼란을 수습하는 질서유지운동에만 열성을 다했다. 5·18민주화운동 역시 4·19정신을 이어받아 학생들이 도화선이 되었으나 스스로 시민군으로 호칭하는 통에 학생보다 시민이 부각되었다.

 

5·18은 군부의 잔학한 탄압으로 숱한 희생을 치른 끝에 1987년 6월 항쟁을 통하여 7년 후에야 숨통을 트게 되었다그러나 애써 찾아준 민주화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신군부 잔당들에게 정권을 헌상한 것은 김영삼과 김대중의 분열 때문이었다그들이 힘을 합쳐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릴레이정권을 시현했다면 지금 이 나라는 우파와 좌파보수와 진보와 같은 낡고 썩은 이념에 매달려 갈가리 찢기고 호남 대 영남이라는 지역분할과 같은 비극적인 정치를 모면했을 것이다확고한 국민의지지 하에 정통성이 인정된 민간정부는 북한과의 관계개선에도 우위적 입장을 견지하며 민족통일의 기운이 삼천리 방방곡곡에 넘쳐흘렀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양김의 분열이 가져다 준 패악의 큰 단면을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그런 사람들을 지도자로 떠받들어야 하는 무지몽매한 국민들만 애가 탈 뿐이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등재신청을 한 바 있다당시의 조선정부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기록물과 혁명군에 가담한 동학농민군일본공사관 등이 생산한 것들이다그 외에도 개인의 견문기록문 등 다양한 주체세력이 생산한 기록물로 구성되었다모두 175건이며 이미 문화재로 등록된 동학농민군 사발통문흥선대원군 효유문양호전기 등이 포함되었다맨 처음 신청은 전봉준이 고부에서 기포(起包)했기 때문에 정읍시에서 주관했으나 탈락했다두 번째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재단이 앞장서 세계기록유산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재신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했다이번이 세 번째인데 작년11월과 금년5월에 대대적인 학술대회를 열고 전문학자의 학문적 연구를 더한 것은 동학혁명이 추구했던 새로운 세상을 연다는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4·19혁명은 동학 이후 76년 만에 썩고 부패한 독재정권을 갈아치우는데 성공한 혁명이다동학혁명군은 무력으로 전주를 함락하고 조선정부와의 협약으로 각 고을마다 동학군 집강소를 설치하였으나 일본군을 끌어들인 조선정부를 뒤엎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으며 결국 공주 우금치에서의 전면적 패배로 막을 내렸다반면 4·19는 독재체제를 무너트리고 새로운 민주정권을 세웠다따라서 그 기록물도 풍부할 수밖에 없는 성공한 혁명이었다그러나 1년도 못되어 5·16군사쿠데타에 모든 것을 뺏겼다야당인 민주당이 7·29총선에서 3분의 2를 획득했으나 신구파로 분열하면서 허약하기 짝이 없는 장면은 쿠데타의 정보를 알고 있으면서도 진압조차 하지 못하고 수녀원에 스며들어 숨는 무기력을 노출시켰다후일에 분열한 김영삼은 구파였고 김대중은 신파였던 점을 보면 그들의 DNA에는 분열의 유전자가 끼어있음이 분명하지 않은가이로써 4·19는 의거로 전락하고 30년 후에야 겨우 문민정권이 탄생한다.

 

저항운동을 전개하는 학생들은 감옥에 갔다고개 숙이고 기어들어간 사람들은 산업화의 역군으로 성장하기도 했다따라서 4·19기록물은 빈약하다그러나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등에서 열성적으로 수집소장하고 있으며 집대성한 책도 냈다그나마 명맥을 유지해온 4·19혁명공로자회(회장 유인학)에서는 4·19세계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엄 등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이번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확실시된다동학혁명과 4·19혁명은 영원히 빛나는 민족의 긍지다.

 

글 김동진 시사타임즈 호남본사 대표


※ 이 기사는 시사타임즈의 공식입장이 아닌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