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말 주민등록 인구 5,182만 6천명…전년比 약 5만명 증가
[시사타임즈 = 조미순 기자]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에 따르면 대한민국 주민등록 인구는 2018년말 51,826,059명으로, 전년 대비 47,515명(0.1%) 늘었다.
연령별 분포는 50대가 8,615,884명(16.6%)으로 전년대비 125,680명 늘어 가장 많았다. 또 40대 8,488,587명(16.4%), 30대 7,270,143명(14.0%), 20대 6,823,973명(13.2%), 60대 5,949,639명(11.5%) 등의 순이다.
0세에서 14세 인구는 6,628,610명으로 전체 인구의 12.8%이며, '17년 말 6,785,965명(13.1%)에 비해 157,355명(0.3%p) 감소했다.
15세에서 64세 인구는 37,547,041명으로 전체 인구의 72.4%이며, '17년 말 37,636,473명(72.7%)에 비해 89,432명(0.3%p)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7,650,408명으로 전체 인구의 14.8%이며, '17년 말 7,356,106명(14.2%)에 비해 294,302명(0.6%p)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자는 25,959,930명(50.1%), 남자는 25,866,129명(49.9%)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93,801명이 더 많았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2,042,947세대로, 지난 '17년 21,632,851세대보다 410,096세대(1.9%)가 증가했다. 세대당 평균 인구는 2.35명이다. 2017년과 비교하여 경기(203,258명), 세종(34,026명), 제주(10,108명), 충남(9,512명), 인천(6,100명), 충북(4,820명) 6개 시도의 인구는 늘었다. 서울(91,803명), 부산(29,200명), 전북(17,775명), 경북(14,875명), 대구(13,462명), 전남(13,454명) 등 11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했다.
2018년 시·도별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을 자연적 인구 증감(출생등록-사망말소)과 사회적 인구 이동(전입-전출) 중심으로 살펴보면, 2017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 중 경기, 세종, 제주 3곳은 자연적 인구 증가와 타 시도로부터 순유입이 많았다.
또 충북, 충남은 자연적 인구는 감소했으나 타 시도로부터 순유입이 많았다. 인천은 타 시도로 순유출이 많았으나 자연적 인구가 증가했다.
2017년보다 인구가 감소한 서울, 대구, 대전, 울산, 광주 포함 5곳은 자연적 인구는 증가하였으나 타 시도로의 순유출이 많았다. 부산, 전북, 경북, 전남, 강원, 경남 포함 6개 지역은 자연적 인구 감소와 함께 타 시도로의 순유출도 많았다.
시·도간 사회적 인구변동 중 순유입(전입-전출)이 많은 지역은 경기(170,118명), 세종(31,432명), 충남(10,084명) 등 5곳이고, 순유출이 많은 지역은 서울(△110,216명), 부산(△26,762명), 대전(△14,754명) 등 12곳이다.
시·군·구에서 2017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67,636명), 김포(31,078명), 용인(31,045명) 등을 포함한 63곳이다.
경기 안산(17,367명), 인천 부평(15,301명), 서울 강남(13,800명), 경기 성남(13,163명) 등을 포함한 163개 지역의 인구는 감소했다.
시·군·구간 사회적 인구변동 중 순유입이 많은 지역은 경기 화성(62,609명), 김포(29,330명) 등 70곳이고, 순유출이 많은 지역은 경기 안산(18,627명), 인천 부평(16,534명) 등 156곳이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조미순 기자 sisatime@hanmail.net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3월말부터 3대 소방불법행위 불시단속 (0) | 2019.01.16 |
---|---|
만 6세 미만 모든 아동에 지급…‘아동수당’ 15일부터 신청 (0) | 2019.01.15 |
서형수 “고용감소 원인, 지난해 취업자 증가폭에 따른 기저효과” (0) | 2019.01.15 |
산업부,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2차 토론회 개최 (0) | 2019.01.15 |
국민연금 1월부터 5,690원 인상…물가변동률 1.5% 반영 (0) | 2019.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