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사회일반

구포 개시장 폐업 “잘했다” 69.9%, 부산 시민은 77.2%

구포 개시장 폐업 “잘했다” 69.9%, 부산 시민은 77.2%

동물자유연대 개식용 산업 시민 인식 조사결과 발표

전통시장 내 개고기 판매골목 국민 절반은부정적

개시장 폐업 위한 정부/지자체 역할 요구 52.7%

대구 시민 62.5%, 칠성시장 폐업찬성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동물자유연대(대표 조희경)는 지난 81일부터 5일까지 5일간 전국 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개식용 산업 시민 인식조사를 진행, 개시장 폐업을 비롯한 개식용 산업의 붕괴와 전통시장 내 개고기 판매 업소에 대한 국민 인식을 확인했다. 

 

▲지난 7월12일 대구 칠성시장 앞에서 열린 <개식용 철폐 전국 대집회>에서 칠성 개시장의 폐쇄를 외친 동물자유연대(사진제공 = 동물자유연대). ⒞시사타임즈

 

말복을 맞이해 동물자유연대가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를 보면 지자체와 상인 간 협상을 통해 폐업을 이끌어 냈던 부산 구포개시장 사례에 대하여 응답자의 69.9%가 찬성의견(전적으로 찬성 47.4%, 어느 정도 찬성 22.5%)을 내놓았다.

 

그중 구포 개시장이 소재한 부산광역시의 경우 응답자의 77.2%가 찬성해 해당 지역주민의 지지가 더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 원인은 전통시장 내 개고기 판매 골목에 대한 인식과도 연관이 있다.

 

전체응답자의 50.3%가 전통시장 내 개고기 판매골목이 시장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해 국민 절반 이상은 개시장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부산은 평균보다 높은 58.2%가 부정적 의견을 표했다.

 

전통시장 내 개고기 판매 골목이 시장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개들이 비인간적으로 취급/도축되기 때문에74.4%로 가장 높았다. ‘개는 반려(애완)동물이고 가축이 아니기 때문에’ 59.3%, ‘개고기 골목이 시장 미관상 좋지 않아서’ 29.5%, ‘골목 주변에서 나는 악취/오물 문제 때문에’ 26.9%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일반 시민 또한 개시장 내 발생되는 개들의 잔인한 도살에 큰 반감을 가지고 있다. 반려인구 1천 만 시대로 접어드는 현재 더이상 를 식용의 대상이 아닌 소중한 가족으로 인식하는 우리 사회의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을 보여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시민들은 개식용 산업의 전망 역시 어둡게 보고있다. 설문 응답자 중 78%는 개고기 시장 사양화로 관련 산업은 더욱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물자유연대가 지난해 진행한 설문에서 동일한 질문에서 개식용 산업의 쇠퇴를 점친 응답 비율(68.2%)과 비교 했을 때 1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쇠퇴전망이 크게 늘어난 것은 개식용 산업이 예상보다도 빠르게 붕괴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개시장 폐업에 대해서도 정부 및 지자체의 역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개시장 폐업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가 역할을 해야한다는 응답이 절반 이상인 52.7%(예산을 투입한 적극적인 개입 27.5%, 행정적 지원 등의 역할 25.2%)에 달했다.

 

특히 최근 대구 칠성시장의 개식용 영업 및 개 도살 중단에 대한 지자체의 개입 움직임에 대하여 대구 시민을 대상으로 별도 질문한 결과, 62.5%찬성의견을 보여 칠성 개시장의 전면 폐업을 희망하는 대구 시민들의 바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는 이번 시민 인식 조사를 통해 우리사회 개식용 산업의 붕괴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특히 지역 내 개시장 및 개고기 골목 영업에 대한 시민들의 부정적 인식과 폐쇄 요구에 대하여 정부와 각 지자체는 하루 속히 응답해 개식용 산업 거점 중 하나인 개시장 철폐를 위한 협의 창구를 열고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밝혔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