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예/문화·일반연애

국내 유일 무용전문 창작공간 ‘서울무용센터’ 8일 개관

국내 유일 무용전문 창작공간 ‘서울무용센터’ 8일 개관

 

[시사타임즈 = 우경현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조선희)은 국내 최초의 무용전문 창작공간인 ‘서울무용센터’를 오는 4월8일 재개관하며, 이를 기념한 개관행사를 6일부터 16일까지 서대문구 홍은동에 위치한 서울무용센터(구 홍은예술창작센터)에서 진행한다.

 

옛 서부도로교통사업소를 리모델링해 지난 2011년 5월에 문을 연 '홍은예술창작센터'는 무용을 기반으로 한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운영되어왔다. 이에 서울문화재단은 지속적으로 무용전문 공간의 필요성에 관한 현장의 요구를 수용해, 지난해 30여 회의 공개자문을 받고 6개월간 리모델링을 거친 후 '서울무용센터'로 재개관하게 됐다.

 

서울무용센터는 지속 가능한 무용 생태계 조성을 위해 예술가와 프로젝트를 직접 지원하는 창작지원팀과 홍은예술창작센터에서 나눠 운영하던 지원사업을 통합했고, 지원대상도 무용 장르에 집중했다.

 

또한 데뷔 10년 이내의 젊은 안무가를 대상으로 지원금, 공간, 인큐베이팅, 기획, 홍보를 전사적으로 지원하는 <유망예술지원사업 닻(DOT)>을 비롯해 <작품지원사업>, <공연장 상주단체 지원>까지 무용 관련 지원 시스템도 개선한다.

 

무엇보다 기존 1개에 불과했던 호스텔을 6개로 늘리며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강화했다. 서울무용센터는 <국제 프로젝트 공모사업>를 통해 한국에서 활동하려는 해외 활동 예술가들을 위해 다양한 쇼케이스와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우선 미국 뉴욕의 무브먼트 리서치(Movement Research), 독일 함부르크의 케이쓰리 탄츠플란(K3 Tanzplan Hamburg), 일본 교토아트센터(Kyoto Art Center) 등과 업무협약(MOU)을 통해 레지던시 예술가를 일대일로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미 지난해 11월과 올해 3월에 각각 공모를 통해 무브먼트 리서치와 K3 교환작가들이 선발됐으며, 다가오는 하반기에는 교토아트센터 교환 작가를 선발할 예정이다.

 

이번 개관행사의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저장된 실제'(황수현, 6~7일) ▲'트롤리튜드'(Trollitude)/'블랙 앤드 화이트'(B(1)ack and White, 이선아, 8~9일) ▲'고블린파티의 고블린파티'(고블린파티, 8일) ▲'사자입 들여다 보기'(한정미+딕슨 앰비아이, 8일)이 공연되며, ▲'업 비트'(UP BEAT, 이원호 금민정 기슬기 김우진 박은영 박혜수 백정기 손종준 이원호 최종운 하태범 UNSITE, 1~15일) 그룹전시와 ▲'부부 파드되(pas de duex, 발레에서 두 사람이 추는 춤)' 발레 워크숍이 준비됐다. 이번 행사를 위해 홍은예술창작센터 당시 각 지원 사업에 선정됐던 20여 명의 안무가, 무용가, 시각예술가들이 참여해 세부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서울무용센터의 방향성과 역할을 보여줄 공연 프로그램

 

서울문화재단은 이번 개관행사를 위해 무용 공연 5편을 공개한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관람할 수 있도록 개관식 전후 4일 동안 국내외 무용가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이어진다.

 

우선 2013년 유망예술지원사업 선정자인 황수현의 ‘저장된 실제’를 재공연한다. 관객들은 3개의 무용 스튜디오에서 동시에 벌어지는 각 20분간의 공연을 이동 관람하며 시간과 공간이 바뀐 기억을 체험하게 된다.

 

프랑스에서 활동 중인 안무가 이선아는 스웨덴 공연투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트롤리튜드’를 준비했으며, 이어 서울무용센터를 위해 준비한 초연작 ‘블랙 앤드 화이트’로 움직임과 무용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표현한다.

 

국내외 안무가들의 협력 공연도 펼쳐진다. 스트리트 댄서 출신으로 현재 영국에서 활동 중인 딕슨 앰비아이(Dickson Mbi)는 2016년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공모>를 통해 선정된 첫 번째 해외 안무가다. 그는 한국무용에 기반을 둔 한정미의 전작인 ‘사자입 들여다 보기(Head in the lion’s mouth-Roar again)’를 기반으로 동서양 무용이 어우러지는 즉흥 공연을 야외마당에서 펼친다.

 

지난 2014년 홍은예술창작센터 입주예술가이자, 최근 주목을 받았던 무용 창작그룹 고블린파티가 서울무용센터 전체를 소개하는 장소특정형 프로그램인 ‘고블린파티의 고블린파티’를 공연한다. 장르와 나라, 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무용이 어우러지는 축제를 통해 서울무용센터가 지향하는 방향과 한국 무용계에서의 역할을 가늠해 볼 수 있다.

 

 

공간의 역사성과 켜켜이 쌓인 기억에 관한 전시 ‘업 비트’

 

2011년 홍은예술창작센터 입주작가였던 이원호의 ‘업 비트’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작가들은 당시 레지던시에 참여했던 이들이다. 함께 입주한 무용가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창작언어를 고민하고 제작한 작품을 이번 개관에 맞춰 새롭게 구성했다.

 

이번 전시는 야외구조물, 관람객의 반응에 움직이는 키네틱 아트, 영상 프로젝트를 활용한 반응형 전시, 춤과 몸을 소재로 한 사진, 그리고 댄스필름 등으로 구성됐으며 시간의 변화가 과거의 기억을 지워버리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진전을 위한 바탕이라는 관점으로 기획됐다.

 

고블린파티와 함께 만든 금민정의 댄스필름 ‘마이몬 에로스’와 김진수와 함께 한 박은영의 댄스필름 ‘짐노페디스(Gymnopedies)’, 주정민과 함께 만든 박혜수의 ‘꿈의 표류’, 무용수와 함께 한 손종준의 ‘노마딕 나바호(Nomadic Navjo)’, 종이로 만든 백색 건물 위를 춤추는 무용수의 움직임을 담아낸 하태범의 ‘댄스 온더 시티 2’, 소리의 이미지를 모아 설치물로 만들어낸 백정기의 ‘맑은 밤 혼자 걷는다’ 등은 영상으로 작품을 보여준다.

 

최종운의 키네틱 아트 ‘버티컬 시(Vertical Sea)’는 대자연의 신비를 직접 느껴보는 체험형 설치물이며, 기슬기의 ‘사라지다(Post Tenebras Lux)’는 시간과 빛의 의미를, 김우진의 ‘건널 수 있을까?’는 필름 속 사람의 움직임과 관람객의 그림자를 함께 배치했다. 전시기획자이자 작가로 참여한 이원호의 ‘두개의 상자, 두 개의 공간’은 공간과 기억을 이어주는 이번 전시의 콘셉트로 표현된다.

 

 

무용예술 창작지원, 국제교류 프로그램 및 시민문화 향유 프로그램 운영

 

'누구나 출 수 있는 춤'이라는 의미로 옛 홍은예술창작센터의 대표 프로그램인 도 개관에 맞춰 새롭게 개편됐다. 서울무용센터의 운영위원으로 서울발레씨어터 김인희 대표는 부부를 위한 발레 워크숍 ‘부부 파드되’를 진행한다. 이는 접하기 어려웠던 발레를 통해 쉽게 신체적 교감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부부관계를 회복하고 운동감각과 자신감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16회 수업에 참여 가능한 7쌍의 부부를 선발하며, 개관 전시가 끝나는 4월16일부터 워크숍이 시작된다.

 

서울문화재단 조선희 대표이사는 “서울무용센터는 작품지원 등 직접지원뿐만 아니라 연습, 쇼케이스가 가능한 공간, 기획형 프로젝트 지원과 국제교류 등까지 간접지원이 함께 어우러진 창작공간”이라며 “향후 더 많은 무용가들과 협력하고 유망한 무용가를 육성해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무용전문 종합센터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선아, 황수현의 공연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을 통해 선착순으로 무료로 예약할 수 있으며, 고블린 파티, 한정미와 딕슨 앰비아이의 공연은 사전접수 없이 개관식에서 관람할 수 있다. 개관 전시는 16일까지 상시 무료 운영.

 

문의 : 02)304-9100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우경현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