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342)] 프랑켄슈타인

[책을 읽읍시다 (1342)]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 저 | 오숙은 역 | 열린책들 | 320| 9,8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최초의 공상 과학 소설이자 메리 W. 셸리의 대표작 프랑켄슈타인. 셸리는 시인 바이런 경의 괴담을 써보자는 제안으로 이 작품을 쓰기 시작했는데, 잠을 이루지 못한 어느 밤 꿈결 같은 몽상에서 깨어난 뒤 내가 무섭다면 다른 사람에게도 무서울 것이라는 생각에서 독자들을 오싹하게 만들고자 글을 써 나갔다.

 

연금술과 자연 과학을 공부한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연구에 전념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낸다. 2미터40센티미터에 납골소에서 구해 온 뼈로 팔다리를 비례가 맞도록 구성했고 아름다운 외모의 특징들을 골라 짜 맞추었다. 검은 머리칼은 윤기를 내며 흘러 내렸고 이는 진주처럼 희었다. 그러나 이런 화려함은 그 축축한 눈, 그것이 들어앉은 희끄무레한 눈구멍과 거의 비슷한 색깔의 두 눈, 쭈글쭈글한 피부, 새까만 입술과 대조를 이루어 더욱 섬뜩하기만 했다. 어느 날 동생 윌리엄이 죽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빅터는 살인자가 자신이 만들어 낸 바로 그 괴물임을 직감하는데…….

 

영국의 낭만주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메리 W. 셸리의 출발은 인간의 어떤 노력의 결과가 이 세계를 창조한 조물주의 엄청난 메커니즘을 조롱하게 된다면 그 무엇보다 무서울 것이라는 점이었다.

 

다윈 등 당시의 생리학자, 과학자들이 이룬 과학적 발견과 발전을 토대로 셸리는 공상 소설의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황당하지만은 않은 그럴듯한 일관된 상상력으로 소설의 새로운 장르를 열었다. 1831년판 서문에서 셸리는 포괄적이면서 또 당당하게, 인간적인 열정을 그려 내고싶었다고 썼다.

 

그리스의 비극 서사시 일리아스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 한여름 밤의 꿈, 그리고 무엇보다 밀턴의 실낙원처럼 인간 본성의 기본 원칙에 대한 진실을 그대로 담아내는 한편, 인간의 섬세하고 다양한 감정의 결합들을 이뤄내도록 셸리는 이 소설을 완성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괴기 소설은 메리 W. 셸리가 가장 행복했던 시절에 쓰인 것이다. 살인 장면이나 피 한 방울 묘사하지 않았는데도 초지일관 축축하고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로 우리를 공포에 떨게 만드는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이야말로 이 작품이 세계문학의 고전으로 꼽히는 이유이다.

 

 

작가 메리 셸리 소개


1797년 영국 런던에서 급진 정치사상가인 윌리엄 고드윈과 여성의 권리 옹호의 저자로 유명한 여성주의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생후 며칠 만에 어머니가 사망하자 아버지는 재혼했고, 부녀의 돈독한 유대 관계를 질시했던 계모 때문에 어린 메리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다. 대신 아버지의 서재에서 무수히 많은 장서를 독파했고, 당대 최고 사상가들과 아버지가 함께 나누는 대화를 어깨너머로 들으며 지적 허기를 채워나갔다.

 

열다섯 살에 아버지의 제자 퍼시 비시 셸리를 처음 만나, 2년 후 결혼생활에 환멸을 느끼던 그와 함께 프랑스로 사랑의 도피를 감행했다. 이후 가난과 낭만으로 점철된 유랑생활이 8년 동안 이어졌다. 1816년 시인 바이런 경, 의사 존 폴리도리, 남편 셸리와 모인 자리에서 괴담을 하나씩 짓기로 약속해 무서운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고, 1818년에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작품으로 출간됐다.

 

다섯 명의 자녀를 낳았으나 그중 넷이 일찍 사망하는 불운을 겪었고, 1822년 남편마저 익사하자 셸리는 자책감으로 우울증에 시달렸다. 1826년 퍼시 비시 셸리의 초상이라 할 수 있는 소설 마지막 남자를 출간했고, 여러 남성 작가들의 구애를 받았지만 아버지와 아들을 돌보며 독신생활을 고수했다. 이후 로도어』 『포크너등 여러 소설과 여행기를 출간했다. 1848년 발병한 뇌종양으로 인해 185153세의 나이로 부모와 함께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했다.

 

과학기술이 야기하는 사회 문제를 다룬 최초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 카렐 차페크의 R. U. R.등 과학소설은 물론, 블레이드 러너」 「터미네이터등 널리 알려진 과학영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나사못이 관자놀이에 박힌 괴물의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는 20세기 대중문화사에서 무한히 재생산되며 프랑켄슈타인을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공포소설 중 하나로 만들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