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성 저 | 창비 | 328쪽 | 14,500원
|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한국 근현대사의 숨겨진 인물과 진실을 발굴해 다수의 평전과 노동·역사 소설을 집필해온 작가 안재성의 신작 장편소설 『아무도 기억하지 않았다』. 북한 노동당 청년간부로 한국전쟁에 참가했다가 포로로 잡혀 10년간의 수용소, 감옥 생활을 겪은 실존인물 정찬우의 수기를 바탕으로 전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그린다.
정찬우의 가족이 50년간 간직해온 수기를 우연한 기회에 입수하게 된 작가는 “관념적인 작전명령과 실제 전선에서 전쟁의 고통을 겪어야 하는 이들 간의 괴리”와 함께 “지구상에 어떠한 전쟁도 있어서는 안된다”는 휴머니즘적 가치에 매료되어 소설화를 결심했다. 전쟁에서 비롯된 갈등이 여전히 한국사회를 지배하는데도 불구하고 ‘잊혀진 전쟁’의 시대가 되어가는 지금, 『아무도 기억하지 않았다』는 역설적으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을 다시 묻는 소설이다.
1950년 7월 초 인민군이 파죽지세로 남하하던 시기 정찬우는 노동당 교육위원으로 발탁되어 남한 영남지방으로 파견된다. 당시 그의 나이 22세, 김일성대학 역사학과를 갓 졸업하고 교사로 발령받은 직후였다.
전남 고창에서 출생하였지만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만주로 이주한 정찬우는 금주성 일대에서 이름난 수재로 국립사범대학에 남들보다 2년 일찍 들어갈 정도로 영민했다. 그는 또한 남다른 정의감으로 조선독립에 투신해 조선의용군으로 활동하며 능력을 인정받아 승진을 거듭했지만, 학문에 대한 열망에 1947년 이북으로 귀국, 장학생으로 김일성대학 역사학과에 진학한 것이다. 틈틈이 써둔 소설로 공모전에 당선한 소설가이기도 했다.
그의 인생이 한순간에 뒤집어진 것은 한국전쟁에 참가하면서부터였다. 김일성의 직인이 찍힌 임명장을 받고 군복으로 갈아입은 뒤 남쪽으로 내려와 목격한 전선의 상황은 북에서 듣던 승전보와는 전혀 달랐다. 서울과 대전에서 맞닥뜨린 제트기의 기총소사와 소이탄 폭격에 생사의 고비를 넘기는 것은 예삿일이 되었고 낙동강 전선에서 북한군이 유엔 연합군에 궤멸되다시피 한 이후로는 빨치산 신세로 산속에 은둔하며 하루하루를 견디는 신세가 된다.
결국 포로로 잡힌 정찬우는 포로수용소에 수감되고 전범재판을 통해 남한에서 10년의 세월을 복역한다. 정찬우는 노동당 간부라는 출신 때문에 수용소와 감옥에서 빨갱이로 취급받고 공산주의 사상을 교도소 내에 전파한다는 누명을 쓴 채 고난을 겪기도 하지만, 마침내 사면 받아 고향인 전남 고창으로 돌아간다.
50년간 은밀히 숨겨졌던 정찬우의 수기를 바탕으로 소설화한 『아무도 기억하지 않았다』에는 살았다고 감히 이야기하기 어려운 비참과 고통이 미시적이고도 생생하게 담겨 있다. 최전선에서의 전투, 빨치산이 되어 지리산 기슭에서 보낸 한겨울 그리고 진주, 광주, 목포 등 수용소의 비인간적인 실태 등 상상하기 어려운 장면의 연속은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실제를 실감케 한다.
북한 엘리트로 전쟁에 참여했다가 남한에서 전향한 정찬우는 남과 북 그 어디에도 소속된 사람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전쟁에 대한 그의 증언은 보다 객관적이며, 이 소설은 초국적의 정찬우가 바라보는 전쟁의 풍경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그가 포착한 전쟁의 단면은 전쟁을 주도한 남·북한 지도세력의 이념과는 괴리되어, 전선에서 동족간의 전쟁을 강요당한 사람들 간의 갈등과 무자비한 폭력에 다름이 아니다. 평화시대라면 지극히 평범했을 사람들이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단지 살아남기 위해 추악한 본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지만, 정찬우는 생사를 넘나드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총 한발 쏘지 않고 전선에서 여러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는 등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해 스스로 고난을 택한다.”
불행한 시대에 태어난 한 ‘인간주의자’라고 밖에 할 수 없을 정찬우의 일대기는 처음부터 끝까지 옳은 전쟁이나 필요한 전쟁이란 없다는 교훈을 간직한다.
작가 안재성 소개
1960년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나 장편소설 『파업』으로 제2회 전태일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파업』, 『경성트로이카』, 『황금이삭』, 『연안행』, 『사랑의 조건』 등의 장편소설과 『이관술 1902-1950』, 『이현상 평전』, 『박헌영 평전』, 『실종작가 이태준을 찾아서』, 『식민지 노동자의 벗 이재유』 등의 평전, 『한국노동운동사』, 『청계 내 청춘』, 『타오르는 광산』 등의 노동운동 관련 책, 『잃어버린 한국 현대사』 등의 역사책을 펴냈다.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과 억울한 사람들의 사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을 위해 싸우는 정의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쓰며 살아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가고 싶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읽읍시다 (1351)] 팝 잇 업(POP IT UP!) (0) | 2018.03.26 |
---|---|
[책을 읽읍시다 (1351)] 징기스 콘의 춤 (0) | 2018.03.23 |
[책을 읽읍시다 (1349)] 곰돌이 푸, 행복한 일은 매일 있어 (0) | 2018.03.21 |
[책을 읽읍시다 (1348)] 인어를 사랑한 피에로 (0) | 2018.03.20 |
[책을 읽읍시다 (1347)] 하느님 이 아이를 도우소서 (0) | 2018.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