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603)] 지극히 높은 자

[책을 읽읍시다 (1603)] 지극히 높은 자

모리스 블랑쇼 저 | 김예령 역 | 그린비 | 448| 28,0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그간 비평서를 통해, 혹은 불연속적인 침묵과 파편적 중얼거림에 가까운 글쓰기를 통해 블랑쇼를 접해 온 한국의 독자들에게 모처럼 선보이는 본격 소설 작품. 지극히 높은 자1941년의 토마 알 수 없는 자첫 판본, 1942년의 아미나다브와 함께 초기 소설 3부작을 이루며, 바타유, 클로소프스키, 레비나스, 푸코, 데리다 등 많은 철학자들이 이야기하고 또 결과물까지 남긴 바 있는 작품이다. 희랍 비극, 독일 문학과 철학의 영향을 관통하며, 방대하고 집요하고 난해하며 압도적이란 평을 받는다.

 

일찍이 블랑쇼는 이야기는 사건의 연관 관계가 아니라 사건 그 자체를, 사건으로의 접근을, 사건이 발생하기 위해 불려오는 장소를다룬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렇다면 이야기와 대비되는 장르로서의 소설은 일상의 시간을 구현하고 실재의 사건들을 모방하는 그 형식 속에 이야기가 담지 않는 다각적인 요소들을 다루고, 특유의 다잡성에 힘입어 이야기가 스스로의 공간화를 위해 생략하는 일들을 수행한다는 말이 된다.

 

, 지극히 높은 자죽음의 선고의 기획이 깎아 낸 한 축을 담당하여 그 측면을 한껏 전개하고 발전시킨다. 이 장편소설은 방대하고 압도적이고 집요하고 난해하다. 조금씩 완만하게 반복을 거듭하는 가운데 제 역사를 구성하다 어느 순간 극적으로 휘몰아치면서 누구도 예상하기 힘든 대단원을 향해 폭발한다.

 

더없이 고조되는가, 더없이 전락하는가. ‘장편 소설이라는 전통적 형식이 허락하는 여러 가능성 중에는 선조성을 포함한 소설 형식 자체의 해제까지도 포함된다는 듯, 그리고 그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이 녹록지 않은 소설의 또 한 가지 목적이라는 듯, ‘을 향하는 숨 막히는 긴장 속에 저자의 핵심 주제 내지 쟁점이라 할 요소들이(예컨대, ‘이란 무엇인가……) 난폭하고도 열렬한 방식으로 집적되며 끓어오르는 작품이라 하겠다. 독자에 따라 이 거대한 용광로에서 때로는 도스토옙스키를, 때로는 카프카나 에드거 앨런 포를, 카뮈나 지오노를, 아니면 희랍의 비극이나 독일 문?철학의 영향을, 요컨대 자신의 독서가 허락하는 만큼의 많은 비교항과 교차점들을 짚어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극히 높은 자소설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헤겔 역사 철학의 짙은 그림자며, 성서의 알레고리들을 간과할 수 없다. 바타유, 클로소프스키, 레비나스, 푸코, 데리다 등 쟁쟁한 지성들이 그에 대해 크고 작은 숙찰의 결과물을 남긴 1948년의 문제작이다. 마침 죽음의 선고(그린비, 고재정 옮김)도 국역본으로 출간되어 있는 만큼, 굳이 이야기와 소설의 분류법에 매일 필요 없이, 그 자체로 비교해 가며 읽어 보는 것도 흥미로운 독서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작가 모리스 블랑쇼 소개

 

1907년 프랑스 켕 출생. 2003년 이블린에서 사망. 젊은 시절 몇 년간 저널리스트로 활동한 것 이외에는 평생 모든 공식 활동으로부터 물러나 글쓰기에 전념하였다. 작가이자 사상가로서 철학 · 문학비평 · 소설의 영역에서 방대한 양의 글을 남겼다. 문학의 영역에서는 말라르메를 전후로 하는 거의 모든 전위적 문학의 흐름에 대해 깊고 독창적인 성찰을 보여 주었고, 또한 후기에는 철학적 시론과 픽션의 경계를 뛰어넘는 독특한 스타일의 문학작품을 창조했다. 철학의 영역에서 그는 존재의 한계 · 부재에 대한 급진적 사유를 대변하고 있으며, 한 세대 이후의 여러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는 동시에 그들과 적지 않은 점에서 여러 문제들을 공유했다.

 

주요 저서로는 토마 알 수 없는 자』 『죽음의 선고』 『원하던 순간에』 『문학의 공간』 『도래할 책』 『무한한 대화』 『우정』 『저 너머로의 발걸음』 『카오스의 글쓰기』 『나의 죽음의 순간』 『기다림 망각』 『정치평론등이 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