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809)] 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았습니다

[책을 읽읍시다 (1809)] 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았습니다

완벽하지 않은 날들을 살면서 온전한 내가 되는 법

변지영 저 | 비에이블 | 288| 15,000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내가 좀 예민한 타입이긴 해” “난 왜 이렇게 귀찮아하는 성격인 걸까오늘도 SNS나 커뮤니티에 올라온 심리유형검사를 해보며 맞아’ ‘이거 딱 내 얘기네하는 사람들. 우리는 대개 자신에 대해 한 방향으로 일관된 정보를 갖고 있기를 바란다. 그래야 뭔가 자신을 잘 파악해 앞으로의 일들을 통제하기 쉬울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나를 단정 짓다 보면 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다고 느껴질 수밖에 없다. 나는 예민한 사람이 아니라 예민한 부분이 있을 뿐인데 말이다. 우리 가운데 어느 누구도 원래 그런 사람은 없다.

 

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았습니다는 그동안 쓸데없이 나를 괴롭히던 것들이 나의 전부가 아니라 부분이었음을 깨닫고 나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법을 이야기하는 심리에세이다.

 

그동안 나 자신의 마음과 감정을 들여다보는 도구들을 친절하게 안내해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온 변지영 심리학자가 이번엔 흔히 우리가 이야기하는 자존감이 높아야 한다는 말, 자신을 좋아해야 한다는 말의 허상을 짚어보며, 진짜 내 안의 심리적 기둥을 튼튼히 하려면 스스로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저자는 병을 견디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병이라고 말한 정신분석가 윌프레드 비온의 말을 조금 바꿔 이렇게 말하고 싶다고 한다. 우리는 자기 자신을 견디지 못하는 게 가장 큰 병이라고. 자기 자신을 일부러 사랑하고 좋아하려 노력할 필요 없다.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는 말에 얽매일 필요도 없다.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그저 자신에 대한 진실한 호기심이다.

 

이처럼 이 책에서 저자가 독자들에게 가장 권하는 것은 심리적 유연성이다. 내가 그동안 알고 있던 성격, 감정, 패턴 등이 고정되어 있지 않음을 깨닫게 되는 것만으로도 완벽하지 않은 날들을 살아가며 온전한 나로 살아가는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물론 이 힘은 한번에 생기지 않는다.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이란 일상처럼 몸에 배어 있어야 변화가 생긴다. 그래서 이 책은 1부부터 7부까지 생각할 거리들을 짧은 아포리즘으로 담았다. 처음부터 천천히 읽어도 좋고 페이지를 넘기다 마음을 붙드는 곳에 멈춰 잠시 읽어도 좋다.

 

저자는 우리가 매일매일 하는 행위가 말이 되고 생각이 되고 감정이 된다고 말한다. 그것들이 결국 습관이 되고 정체성이 될 것이라고 말이다. 이렇게 나를 만드는 것은 그저 작은 하루들뿐이라고 생각하게 되면 버겁게 느껴졌던 삶이 한결 가벼워진다.

 

무언가를 매일같이 하는 사람의 눈에는 왔다 가는 것들과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는 것이 선명해진다.”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르겠는 사람들이 많지만, 공상만으로 간절해질 수는 없다. 무엇을 계속 하다 보면 그 안에서 간절한 마음이 생겨나는 것이다. 나는 오늘 하루를 망설임 없이 완전하게 불태워 연소시켰던가. 하루의 끝, 나 자신에게 물어볼 일이다.

 

 

작가 변지영 소개

 

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느낌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자신을 사랑하기 어렵다고 흔히들 말하지만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은 또 무슨 말일까? 왜 우리는 자신을 좋아해야 한다고 생각할까? 사실 이러한 생각이나 믿음에는, 진실을 가리는 속임수가 들어 있다. 우리는 대부분 자신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렇다 저렇다 이야기한다. 나의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보아야 하는데 말이다. 독자들이 더 이상 자신을 스스로 괴롭히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러려면 어떤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지 함께 이야기 나누고 싶어 이 책을 썼다.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에서 자기자비와 부부관계 질에 관한 연구로 상담심리학(가족상담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차 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에서 조절초점과 인지적 유연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내 마음을 읽는 시간』 『내 감정을 읽는 시간』 『항상 나를 가로막는 나에게』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는 당신에게』 『아직 나를 만나지 못한 나에게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자아의 관점에서 조현병, 자폐스펙트럼장애, 알츠하이머 등의 정신병리를 들여다본 신경과학서 나는 죽었다고 말하는 남자가 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