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1900)] 테라 인코그니타

[책을 읽읍시다 (1900)] 테라 인코그니타

고고학자 강인욱이 들려주는 미지의 역사 

강인욱 저 | 창비 | 380| 18,000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세계 4대문명이라는 말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 모두 역사 과목을 배울 때 당연시하며 암기해왔던 이 표현이 실은 19세기 제국주의 국가들의 시각을 담고 있다면?

 

강대국의 시각에서 서술되어온 고대사에서 배제된 기억을 복원하고 균형 잡힌 역사적 안목을 제안하는 고고학자 강인욱의 책 테라 인코그니타: 고고학자 강인욱이 들려주는 미지의 역사가 출간되었다. 테라 인코그니타(Terra Incognita)미지의 땅을 의미하는 라틴어로, 이민족과 괴물이 사는 이질적인 곳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돼왔다.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미개인이나 야만인으로 치부하는 것은 인류의 오랜 습관이지만 단순히 무지한 옛사람들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대탐험의 시대에 서구인들은 각 지역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현지인을 인간 이하로 취급하며 놀림감으로 만들었고, 심지어 20세기 초반 유럽에는 각지의 사람들을 모아서 살게 한 인간 동물원’(Human Zoo)이 있었다.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영화 인디애나 존스에도 실은 제국주의 국가의 인종주의적 편견이 가득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20세기 전반 나치의 등장으로 인종주의가 절정에 달하면서 결국 끔찍한 대학살을 낳았는데, 그 기저에는 아리안주의라는 왜곡된 역사관이 있었다. 이처럼 역사의 편견을 바로잡는 것은 단지 과거를 알려주는 것을 넘어 우리 주변에 만연해 있는 차별과 인종주의의 근원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대는 흔히 야만으로 치부되곤 한다. 또한 변경 지역일수록 이런 이미지가 더욱 강화된다. 오늘날 우리가 고대를 보는 관점은 실제로 19세기 제국주의 고고학이 제시한 ‘4대문명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최신 고고학 자료들은 이들 4대문명만이 고대의 중심지였거나 특별한 문명이었다는 편견을 반박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흉노는 고대사의 주역이었으나 오늘날 과소평가된 대표적 사례다. 아메리카 곳곳에 고도의 문명을 꽃피운 원주민들은 서구인들이 아메리카를 점령하면서 몰락했지만 곳곳에 거대한 고분과 도시 등의 흔적을 남겼다. 그러나 문명은 유럽 등 소수 지역에만 존재했다는 편견에 사로잡힌 백인 연구자들은 오늘날까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남긴 유적의 가치를 온전히 인정하는 것을 꺼린다. 유라시아 전역에서 각 문명의 교류를 실현하고 황금색 문화를 꽃피웠지만 중국을 괴롭혔던 오랑캐 이민족 정도로 동아시아에서 인식되는 흉노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주변 지역에 대한 무지는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수도 위주, 국경 위주의 좁은 역사만 공부해온 한국에도 테라 인코그니타가 많다. ‘삼국시대는 가야의 역사를 빼놓은 말이고, 강원도, 경상북도 북부 등 오늘날 인구가 적은 지역의 역사는 상대적으로 무시된다.

 

북한 지역의 역사는 더욱더 미지의 영역이다.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과 고려의 수도인 개경만 간신히 기억할 뿐, 그밖의 지역은 알려진 것도 적고, 관심도 많지 않다. 함경도는 조선 개국의 요람이며 청나라를 건국한 만주족과 접경한 유라시아적인 의의가 있는 지역임에도 지금껏 전혀 주목받지 못했다. 거란, 여진 등 오랜 시간 우리와 교류해온 것이 분명한 이웃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선 관심이 전무하다시피 하다.

 

저자는 이러한 무지와 편견을 깨기 위해선 유라시아의 시야에서 교류의 역사를 증명하는 기존의 고고학 자료들을 재해석함으로써 한국 고대사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잊힌 여러 지역과 민족에 대한 올바른 역사적 평가를 내려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것이 동북공정 등을 통해 변경지역의 역사를 전유하고 자기 역사의 무게를 강화하려는 중국의 역사관이나, 스스로를 추켜세우기 위해 자기모순을 드러내는 일본의 역사관을 답습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지적한다.

 

저자는 문명과 야만, 중심과 변방, 자아와 타자라는 이분법과 편견을 극복하고 다차원적이며 다자적인 새로운 역사관을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최신 고고학 자료를 활용해 고대사의 쟁점들을 살펴본다.

 

인류 역사의 99.7%는 기록이 시작되기 전의 역사거나 문자 기록문화가 없던 지역의 역사이기 때문에 인류 역사를 온전히 복원하기 위해선 고고학 자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쉽게 야만으로 치부돼온 이 99.7%의 역사들이 실은 지금까지 인류를 만들어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만으로도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은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경제구조와 코로나19가 가져온 큰 변화로 선진국으로 꼽히던 나라들의 허술함이 드러나는 반면 중국과 같은 제3세계 국가들이 부상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편견과 폭력을 극복하고 공존과 평화를 지향하는 새로운 역사 공부의 필요성을 일깨워줄 것이다.

 

 

작가 강인욱 소개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본과와 석사를 졸업하고 러시아과학원에서 시베리아분소 고고민족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고고학자를 꿈꾸며 살아왔고, 지금도 경희대 사학과 교수로 근무하며 고고학을 강의하고 있다.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매년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등을 다니며 새로운 자료를 조사하고 있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하고, 조선일보, 서울신문, 한겨레등에 칼럼을 다수 연재하는 등 고고학의 진짜 매력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자 힘쓰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유라시아 역사 기행, 진실은 유물에 있다, 북방 고고학 개론등이 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