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캠페인:책을 읽읍시다]

[책을 읽읍시다 (954)] 비밀 문장

[책을 읽읍시다 (954)] 비밀 문장

박상우 저 | 문학과지성사 | 325쪽 | 13,000원

 

 

 

[시 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오로지 '소설 쓰는 사람'이 되기 위해 살아온 스물아홉 살 주인공이 서른을 향해 가던 한 시기, 인생의 항로를 뒤바꿔놓은 결정적 순간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박상우의 장편 소설 『비밀 문장』. 이 작품은 한 소설가의 영혼을 끝 간 데까지 밀어붙여, 실재 너머-의식 너머의 세계를 한국문학에 끌어온 기념비적 소설이라 할 만하다. 오래도록 ‘삶’의 근원과 ‘문학’의 존재 의미를 화두로 품어온 작가는, 자신의 인생 역정을 토해내듯 이 소설에 쏟아놓는다.

 

출 판사에서 문학 담당 편집자로 일하기도 하는 주인공 문필우는 같은 회사 동료이자 과학 출판 분야 편집팀장인 ‘써니’(본명 양선이)와 사귀면서 ‘제로(0)’의 세계를 접하게 된다. 제로는 무(無)이자 무한(無限)인 세계이면서, 제로로 제로를 나누면(÷) 연산 불능 상태에 빠지는 거대한 공포이다. 아무것도 없는 혼돈인 동시에 공허인 제로 때문에 그는 수학적으로 해석되는 이 3차원 세계의 이면에 거대한 혼돈과 공허가 도사리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곧 써니는 아무런 이유도 남기지 않고 홀연히 자취를 감추며, 문필우에게 우편으로 『제로』라는 장편소설을 보낸다.

 

한 편 스토리를 배제하는 스토리, 이야기성을 추구하지 않는 기이한 소설로 주목받는 소설가 문필수와의 만남은 문필우의 인생을 또 한 번 격변시킨다. 문필수는 작가가 작품의 뒤편에 있는 그림자 같은 존재여야 함에도 작가가 작품보다 앞세워 있는 현실의 문학 풍토에 염증을 느껴 절필한 상태이다. 소설가 문필수는 등반가이기도 한데, 에베레스트에 같이 올랐던 동료 대원들을 그곳에서 잃고 괴로워하다 다시 네팔로 떠나려 한다. 문필우에게 자신이 살던 집, 달동네 산 정상에 위치한 ‘초인의 집’을 한 채 남기고 떠난다.

 

문 필우는 생의 마지막을 초인의 집에서 마감하기로 결정하고 자신의 거처를 옮긴다. 여기서 일종의 에너지라고 할 수 있는 ‘쿄쿄’라는 영체(靈體)를 만나게 된다. 십대 후반의 단발머리 소녀 같은 그 형상은, 녹색과 은색이 혼합된 듯한 광체 안에서 소리가 아닌 뇌파로 메시지를 보낸다. 일종의 에너지 접속 상태를 경험하게 된 것이다.

 

문필우는 인간이 자기 존재를 스토리로 자각하고 인생과 우주의 모든 운행을 스토리로 자각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인터넷상에 스러지지 않을 기구를 설치하려 한다. 그리하여 ‘스토리코스모스닷컴’이라는 사이트가 만들어진다.

 

우 주의 모든 것이 순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 파동 에너지의 무한 반복, 의식의 진화는 여러 차원을 거쳐가며 이루어진다는 등의 쿄쿄의 메시지에서 도움을 받아 문필우는 스토리코스모스의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시킨다. 그것은 간단히 말하자면 ‘바로 보기’와 ‘바로 쓰기’를 거친 뒤, 다음 단계로 ‘다시 쓰기’와 ‘다시 보기’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바로 보기’와 ‘바로 쓰기’가 잘못 전개된 스토리를 이해하고 해체하는 고해의 단계라면, ‘다시 쓰기’와 ‘다시 보기’는 스토리의 재구성과 재창작을 통해 의식 에너지를 리프로그래밍하는 단계이다. 그렇게 ‘스토리코스모스닷컴’ 사이트는 진동하는 우주의 스토리 저장고와 연결되어 위험하고도 진폭이 큰 폭발력을 지닌 채 세상 밖으로 나온다.

 

그 후 이 소설은 결말이 지어지지 않은 채 평행우주로 확장되는데 그 면모는 책 속에서 확인하길 바란다. 그 즈음, 독자 또한 또 다른 입자로 진행될 새로운 결말을 지어가게 될 터이니…. 하여 이 소설의 마지막 문장은 끝나지 않고 이렇게 ‘순환’된다. 끝이 아닌, 무한반복이 시작되는 첫 페이지가 된다.

 

“강렬하게 원하는 것은 언제나 초월의 근거가 된다.”

 

작 가 자신 이 소설의 이론적 근거를 크게 세 가지로 ‘양자역학, 평행우주, 자각몽’이라고 들고 있는바(「작가의 말」), 이 영역들은 모두 만만치 않은 분야들이다. 놀랍게도 이 세 영역은 『비밀 문장』 속에서 병행되고 교직되면서 전혀 다른 차원으로 소설의 공간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작가는 ‘스토리-스토리텔링-스토리텔러-스토리코스모스’라는 연결고리를 고안했는데, 이것이 근간이 되어 새롭고 낯선 이론에 다가가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작가 박상우 소개

 

1988 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 「스러지지 않는 빛」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1999년 중편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으로 제23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하고 2009년 소설집 『인형의 마을』로 제12회 동리문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사탄의 마을에 내리는 비』『사랑보다 낯선』『인형의 마을』 등의 소설집과 『호텔 캘리포니아』『내 마음의 옥탑방』『가시면류관 초상』 등의 장편소설이 있고, 산문집으로 『내 영혼은 길 위에 있다』『반짝이는 것은 모두 혼자다』『혼자일 때 그곳에 간다』『작가』등이 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