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예/북스

[책을 읽읍시다 (645)] 웃천막 사람들


웃천막 사람들

저자
이대영 지음
출판사
푸르름 | 2015-02-21 출간
카테고리
시/에세이
책소개
● 일 년의 삶이 아니라, 하루의 삶에 대한 해결만이 유일한 관...
가격비교

 

[책을 읽읍시다 (645)] 웃천막 사람들

 

이대영 | 도서출판 푸르름 | 256쪽 | 13,000원

 

 

 

 

[시사타임즈 = 박속심 기자] 웃천막 사람들은 웃천막이 형성되던 때부터 시작해서 철거 때까지의 이야기들을 담았다.

 

웃천막은 피난민 동네였고, 가난한 동네였다. 사람들은 산동네로 강제로 옮겨졌고, 제 몸 하나 누일 곳을 찾던 사람들은 산으로 몰려들었다. 아침이면 산에서 내려왔고, 저녁이면 다시 산으로 올라갔다. 그들은 ‘어떻게 살까?’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살아 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밖에 없었다. 그들에게는 일 년의 삶이 아니라, 하루의 삶에 대한 해결만이 유일한 관심거리였다. 마치 먹을 것을 찾아 쫓아다니는 들개처럼 보였다. 땅거미가 질 무렵 굴뚝에서 하얀 연기가 피어오르고 매캐한 연기가 온 동네를 휘감을 때에야 비로소 사람이 살고 있다는 것이 느껴졌다.

 

웃천막 사람들은 그 시대의 사람들과 같이 살았지만, 산동네 사람들이기에 겪었던 그들만의 이야기가 있다. 피난, 강제이주, 고단함, 생명, 싸움, 미움, 감동, 눈물, 생존, 자존심으로 엮인 그들의 인생 스토리는 우리에게 삶과 사랑과 정이 어떤 것인가를 알게 해준다. 삶이 팍팍하다고 말하는 우리에게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만든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만으로도 메말라 있던 우리 감정을 회복시킬 것이다.

 

직장이나 직업을 제대로 가지고 사는 사람은 없었다. 힘으로 하는 일이면 무엇이든지 해야만 했다. 남자들은 부두에서 짐을 날랐고, 더러는 역전이나 시장에서 지게를 졌으며, 여자들은 자갈치 시장이나 국제시장에서 장사를 했으며, 보따리 행상을 하기도 하였고, 젊은 아낙네들은 몇 시간이나 걸리는 거리를 걸어서 밭농사 일을 하며 품을 팔기도 하였다. 신발공장이나, 고무공장, 풍선공장, 방직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 당시 직장으로서는 꽤 안정적인 직장에 속했고, 그곳에 다니는 사람들은 주위 사람들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큰 수입을 기대할 수는 없었다. 하루 벌어서 하루 끼니를 때우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루 일을 마치고 집으로 올라가는 사람들의 손에는 보리쌀 한 봉지와 새끼줄에 매단 연탄 한두 장이 마치 굴비를 꿴 것처럼 들려 있었다. 그것도 일이 있는 날에만 볼 수 있는 모습이었다. 일이 없어서 쉬는 날에는 온 식구가 온종일 굶어야만 했다.

 

가난은 그들에게 상처가 되기도 했고, 슬픔과 눈물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생존이라는 말이 절대적으로 느껴지는 웃천막에도 사랑이 있었고 감동이 있었다. 동네잔치가 있는 날이면 모두가 모였고, 모두가 같이 나누었다. 삶에 대한 애틋함 때문에 하루 일을 마치고 동구 밖 길을 걸어 올라오는 사람들의 노래는 심금을 울렸다.

 

대포 한잔에 목을 축이고 부르는 그들의 노래 소리는 때로는 한탄으로, 때로는 사랑으로, 때로는 희망의 간절함을 안고 웃천막의 밤하늘에 오래도록 울려 퍼졌다.

 

 

작가 이대영 소개

 

이 책의 배경이 된 ‘웃천막’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고등학교를 졸업 후 좋아하는 그림 그리기를 포기하고 삼성전자에 입사한 것도 살기 위한 방편이었다. 장래 유망한 직장을 떠나 신학을 하고 목사가 되었다. 가난한 동네 아이들을 위하여 ‘유소년축구교실’을 열어 꿈과 희망을 전했다. 육군 보병제7사단 상승연대 카페에 가입해서 전군 카페에서 1등을 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파이팅경연연구소〉를 설립하고 ‘대한민국 대표 응원리더’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대한민국에서 응원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위해 강연과 세미나를 진행 중이며,〈 파이팅책쓰기코칭센터〉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꿈이 없어도 괜찮아, 중요한 건 바로 너야》가 있으며, 책 쓰기 위한 책과 청춘을 위한 책, 에세이집이 진행 중이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종합지 -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박속심 기자  sisatime@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