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형수 의원, “국부증가 대부분 부동산-토지 가격 상승”
불평등 문제 심각성 지적·소득재분배 정책 강화
[시사타임즈 = 강광일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경남 양산을)은 4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순자산(國富)의 대부분이 부동산과 토지 가격 상승에 의한 것인 반면, 조세부담률은 매우 낮다는 점을 지적하고 종합부동산세 등 자산에 대한 과세를 높일 것을 주문했다.
서 의원은 한국은행의 국민대차대조표에 나타난 부동산자산 가액의 변동 현황을 분석하여 2016년 대비 2017년 주택가격은 286조원, 토지는 283조원이 늘어나 총 569조원이 증가했다고 밝히고, 사업자와 근로자소득 대비 증가 규모가 큰 것을 지적했다.
반면, 2017년 조세부담률은 토지 가액증가에 대한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 조세부담률은 2.2%로 사업자 영업잉여(16.7%), 근로자 임금급여(5.2%)보다 훨씬 낮다고 설명했다.
또 국가별 GDP 대비 조세부담률의 OECD평균 25.1% 대비 한국은 19.4%로 낮은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그 원인으로 첫째,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가 작고 확대도 부진한 점, 둘째, 공공사회복지지출이 필요한 곳에 혜택이 가지 않는 문제(타깃팅)를 지적했다.
공공사회복지지출 규모는 2006년 7.0%로 OECD평균 18.5%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2016년 10.4%로 3.4% 늘어났지만, OECD평균은 21.1%로 여전히 크게 차이가 난다.
또한, 소득 5분위 중 1분위에 지출되어 소득증대 효과가 있는 것은 기초연금 뿐이고, 기초생활보장급여와 근로장려금, 아동수당 등은 주로 2,3분위 등 중하위층, 공적연금, 세금공제 등은 4,5분위 등 상위층에 집중되어 소득재분배 효과가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국가별 소득재분배효과를 보면 OECD평균은 64.1%이나 한국은 19.5%에 불과한 수준이었고, 저소득층의 소득개선효과도 OECD평균 62.1%인데 반해, 한국은 11.5% 수준에 불과한 것을 들어, 소득재분배 정책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서 의원은 “젊은이들의 희망의 사다리가 사라진 것이 불평등 양극화 때문”이라며, “보유세를 높이고, 부동산에 대한 조세체계 전반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홍 후보자는 “보유세 기준을 단계적으로 높여 나갈 것”이라며 “보유세 강화를 위해 조세체계를 바꿔나가겠다”고 답했다.
서 의원 다시 “단계적 인상보다는 보유세 방향, 철학을 바꿔 조세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보유세 개편 방향의 원칙을 재차 강조했다.
이와 함께 서 의원은 홍 후보자에게 경제부총리의 법적 권한과 책임에 따라 경제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해 나갈 것을 주문했다.
<맑은 사회와 밝은 미래를 창조하는 시사타임즈>
<저작권자(c)시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시사타임즈 홈페이지 = www.timesisa.com>
강광일 기자 sisatime@hanmail.net
'정치 > 정치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찬 “위험의 외주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문제” (0) | 2018.12.17 |
---|---|
녹색당 “교통시설 특별회계 1조원대 나눠먹기, 토건공화국의 실상” (0) | 2018.12.11 |
문 대통령 “아세안과 ‘더불어 잘사는 상생 번영의 공동체’ 만들겠다” (0) | 2018.11.15 |
문 대통령 예산안 시정연설…“내년 예산은 ‘포용 국가’ 첫걸음” (0) | 2018.11.01 |
[특별인터뷰] ‘양승조 충남도지사에게 듣는다’…저출산·고령화·사회양극화의 3대 위기 극복이 최대 과제 (0) | 2018.10.25 |